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 이후 최소 6곳의 한국 기업이 미국 내 투자 계획을 철회하거나 보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1일(현지시간) 미국 주재 컨설턴트와 변호사 등을 인용해 한국 기업 중 최소 2곳이 미국 투자 계획을 철회했고 최소 4곳이 대미 투자 계획을 보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상공회의소 산하 미국-한국 경제 협의회 회장을 지낸 태미 오버비 국제 비즈니스 컨설턴트는 "한 한국 기업이 미국 내 공장 부지를 물색 중이었으나,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단속 사건 이후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우려해 한국에서 공장을 확장하기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말했다.
비자 제도 역시 기업의 대미 진출을 막는 요인으로 꼽혔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H-1B 비자에 10만 달러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이버의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다. 국제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 인트라링크 전무이사 조너선 클리브는 "직원들이 미국 파견을 꺼리는 마음이 커지고 있다"며 "이는 기업 의사 결정 과정을 복잡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WP는 업계 전문가들을 인용해 "ICE의 단속으로 인해 LG에너지솔루션을 포함한 많은 한국 기업과 일부 일본 기업이 미국 프로젝트 작업과 출장을 중단했다"며 "일부 프로젝트는 몇 주 또는 몇 달 뒤로 미뤄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은 미국 관료들이 새로운 대책과 인센티브를 내놨음에도 불구, 많은 동아시아 기업들은 여전히 미국을 사업을 하기에 예측 불가능한 장소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P에 보낸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투자 친화적인 경제로 만드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