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中 희토류 장악 시도에 ' 핵심 광물 동맹' 출범

G7 회원국 국기들 사진연합뉴스
G7 회원국 국기들. [사진=연합뉴스]

G7이 '핵심 광물 동맹'을 출범시키며 대중 견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올해 G7 의장국인 캐나다를 비롯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미국의 에너지 장관들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토론토 회의를 통해 '핵심 광물 생산 동맹'을 체결하고 이행 계획도 공개했다.
 
동맹은 앞서 지난 6월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주요 광물 공급망 다변화 등을 목표로 채택된 '핵심 광물 행동 계획'(CMAP)의 구체 실행 조치다.
 
이행 계획은 국방, 청정 에너지, 첨단 제조 공급망에 필수적인 주요 광물 생산 공정 등을 활성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아울러 25개의 신규 투자와 참여국 간 '거미줄식'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내용도 담겼다.
 
영국 수출금융청은 캐나다 천연자원부, 수출 기관과 협력해 영국의 미래 공급망 확보는 물론 캐나다 광산 지원에 도움이 되는 재정 지원 모색에 나서기로 했다.
 
이탈리아 에너지 기업 에니(ENi)의 경우, 캐나다 리튬, 흑연, 희토류 정제와 폐기물 중요 소재 재활용에 필요한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투자로 주요 광물 전략적 생산과 공급망에 진출할 예정이다.
 
AFP통신은 이 같은 움직임에 "중국이 과도한 지배력을 행사해온 희토류를 포함해 다양한 첨단 기술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다양한 금속의 생산·개발 내용을 포함한다"고 보도했다.
 
팀 호지슨 캐나다 에너지부 장관은 이번 계획을 두고 "세계에 매우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며 중국을 겨냥해 "우리는 시장 집중도와 의존도를 줄이는 데 진지하게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외교부 궈자쿤 대변인은 이날 G7의 광물 동맹 체결을 두고 "G7이 시장경제 원칙과 국제 경제무역 규칙을 확실히 준수하고, 소집단의 규칙으로 국제 경제무역 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를 멈추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전날 '2026∼2027년도 텅스텐·안티몬·백은을 수출하는 국영 무역기업의 보고 조건 및 절차'를 공개하며 희귀 금속 수출 관리 강화에 나서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