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3주기] 광화문에 추모 물결...유가족들 "참사의 진실 제대로 기억해달라"

  • 정부 첫 공식 주관으로 열린 10·29 참사 3주기 기억식

  • 유가족 "정부의 무능으로 벌어진 비극… 진상규명 끝까지"

  • "책임져야 할 조직과 사람이 책임지길" 시민도 한목소리

  • 서울 전역 추모 사이렌 1분… 광화문 광장 침묵의 시간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유가족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유가족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이 광화문광장에서 정부 주최로 열렸다.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29일 오전 10시 29분,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던 날짜와 똑같은 시간을 기해 서울 전역에 사이렌 소리가 1분간 울려 퍼졌다. 시민들은 제자리에 서서 고개 숙여 묵념했다.

이날 기억식은 참사 이후 처음으로 정부가 서울시와 공동 주최했다. 기억식에는 참사 희생자 국내외 유가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지난 24일 입국한 12개국의 외국인 참사 희생자 유가족 46명도 포함됐다.

기억식 시작 전 잠시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무대 앞 좌석에 착석하자 흥분한 유가족들이 오 시장을 비난하며 나섰다. 한 유가족은 “오세훈은 집에 가라”고 고함을 쳤고, 다른 유가족은 오 시장 자리 앞까지 다가가 항의했다. 유가족의 항의에도 오 시장은 굳은 표정으로 고개만 숙였다.

이날 기억식에는 각계를 대표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정부 대표로는 김민석 국무총리가 참석했고, 국회에서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다수 참석했다. 서울시에서는 오 시장이 대표로 참석했다.

이들 외에도 세월호 참사, 삼풍백화점 참사 등 각종 재난 참사 유가족들과 시민단체, 일반 국민 등 약 2000명이 참여했다.

원래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참석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일정으로 현장 대신 영상으로 추모사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추모사에서 “감히 어떤 말로도 위로가 될 수 없음을 잘 알지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참사 유가족과 국민들께 다시 한 번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제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지난 6월부터 이태원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진상조사가 진행 중이며, 시간이 늦은 만큼 빈틈이 없어야 한다”며 “특조위가 독립성과 권한을 온전히 지켜가며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기억식은 유가족 인사, 특조위원장 추모사, 시인 박소란의 추모시 낭독, 가수 안예은 추모공연, 해외 유가족 추모사, 배우 문소리 추모글 낭독, 시함뮤(시민과 함께 하는 뮤지컬 배우들)의 추모 뮤지컬 공연, 시민대책회의의 단체 추모사 낭독으로 구성됐다. 기억식 내내 유가족석에 앉은 유가족들은 눈물을 훔쳤고, 추모공연에서 가수 안예은은 ‘상사화’를 부르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노르웨이 희생자 스티네 에벤센의 어머니 수잔나 에벤센도 추모사를 낭독했다. 수잔나 씨는 “2023년 10월 1주기 추모식 소식을 듣고 한국을 찾았고, 한국의 부모님들이 1년 내내 싸워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새 정부와 진행 중인 조사 속에서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지만, 스티네와 그녀의 친구들, 세상을 넘어 우리를 이어주는 사랑을 믿는다”고 흐느꼈다.

고(故) 김지현 씨의 어머니 김채선(58) 씨는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작년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번엔 정부가 직접 주관해줘 감사하다”며 “그동안 참사를 오해하던 사람들에게 사실이 바로 알려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조위가 형식이 아닌 진심으로 조사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 씨는 “그날 단풍 구경을 다녀와 행복했는데, 그 시간에 딸에게 그런 비극이 일어나고 있었다는 게 너무 괴롭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정부의 무능으로 벌어진 일인 만큼, 시민들이 가짜뉴스에 휘둘리지 않고 참사의 진실을 제대로 기억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서울에 사는 시민 신모(48) 씨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일어나 사실로 받아들이는 데 시간이 꽤 걸렸다”며 “처음엔 잘못된 보도인 줄 알았는데, 현장에 있던 분들의 이야기를 실시간으로 듣고서야 얼마나 끔찍했는지 알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말 단순히 진실 규명만을 원한다”며 “누구를 벌주자는 게 아니라,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명확히 밝히고 책임져야 할 조직과 사람이 책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