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전달받은 '19세 이하 메틸페니데이트 처방현황' 자료에 따르면 ADHD 치료제의 주요 성분인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 수는 2020년 6만5685명에서 2024년 15만3031명으로 약 2.3배(232%) 늘었다.
같은 기간 처방건수는 59만 2163건에서 126만 2961건으로 약 2.1배(213%), 처방량은 1883만 정에서 4560만 정으로 2.4배(242%) 늘었다.
연도별 처방 환자 수를 보면 △2020년 6만5685명 △2021년 7만8261명 △2022년 9만9742명 △2023년 12만5739명 △2024년 15만3031명으로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청소년 대상 ADHD 치료제 처방 및 오남용 통계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관계자는 "식약처 통계는 의사가 처방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조제·투약량으로 집계돼 처방 의도가 반영된 오남용 여부는 파악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김영호 위원장은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는 합동 협의체를 가동해 예방 교육, 안전 사용 방안 마련 등 ADHD 치료제 오남용 관련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