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 최태원·하정우·최수연, 민관 K-AI 리더 한자리에..."소버린 AI에서 글로벌 AI로"

  • APEC 개막 앞서 각국 주요 경제인 집결

  • 소버린 AI, 글로벌 확산 머리 맞대

  •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와 네트워킹 강조

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경북 경주서 열린 2025 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 행사인 '퓨처 테크 포럼:AI'에서 환영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을 필두로 한국 인공지능(AI) 산업을 대표하는 민관 전문가가 한군데 모여 소버린(주권) AI를 글로벌 AI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에서도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해 중역을 보내 소버린 AI 지원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28일 SK그룹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최고경영자(APEC CEO) 서밋에 앞서 경북 경주시에서 '퓨처 테크 포럼:AI'를 개최했다. 'AI 시대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미국, 싱가포르, 페루 등 APEC 주요 참가국에서 정부·기업·학계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최 회장은 환영인사를 통해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도 AI는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하고 진화할 것"이라며 "한국이 AI 발전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기술·사회적 병목현상을 푸는 테스트 베드가 되며 전 세계 AI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행사에 앞서 매트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와 함께 APEC K-테크 쇼케이스 행사장에 마련된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메타 등의 부스를 차례대로 둘러보며 아마존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강조했다. 그는 특히 현대차그룹의 PBV(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와 자율주행 휠체어 등 피지컬 AI 기반 미래 모빌리티의 가능성과 상용화 시점에 많은 관심을 드러냈다. 

환영 인사 후 기자들을 만난 최 회장은 CEO 서밋 의장 자격으로 이번 행사를 직접 준비했다. 그는 "APEC은 한국과 각국 정부·기업이 새로운 교류와 협력을 하는 좋은 기회"라며 "미·중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이니 좋은 비즈니스 기회로 보고 유독 많은 유명 CEO들이 행사를 찾게 되었다"고 행사 성공의 공을 돌렸다.

그러면서 "SK그룹 고객사는 반도체 외에도 에너지, 텔코(통신), 바이오 등 다방면에 있다"며 "그들과 가능한 많은 대화를 나누며 비즈니스 성과를 내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최 회장은 내달 1일까지 경주에 머무르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중요 인사를 영접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진 기조연설에서 하정우 AI수석비서관은 "지난 9월 글로벌 AI 기술력 평가에서 한국이 미국과 중국에 이어 3위로 조사될 만큼 전 세계가 주목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는 AGI(일반인공지능), AI 반도체, 피지컬 AI, 과학을 위한 AI, 국방 AI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사람 중심의 AI 기본 사회를 만들고 그 성과를 국제 사회와 공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AI 원천기술 개발과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해 "과학AI연구소와 국가AGI연구소 설립을 추진 중이며 국가AI전략위원회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짜고 있다"고 덧붙였다.

빅테크를 대표해 자리를 함께한 매트 가먼 AWS CEO는 소버린 AI를 지원하기 위한 소버린 데이터센터 구상을 발표했다. 그는 "단일 국가가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AI 풀스택을 완전히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미국만 해도 TSMC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으로부터 파운드리, 메모리 관련 지원을 받아 AI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는 데이터 주권에 대한 고려가 선행돼야 한다"며 "고객이 원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지역을 벗어나지 않는 소버린 데이터센터가 소버린 AI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소버린 AI의 글로벌 확대 의지를 드러냈다. 최 대표는 "AI는 단순 서비스에서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 발전해나갈 것"이라며 "네이버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풀스택 AI 서비스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일본 등 전 세계 각국의 AI를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