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 상생형 농업인력 지원 체계 구축

  •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 안정 정착, 농촌 인력 난 해소 선도

계절근로자 청도문화탐방 모습 사진청도군
계절근로자 청도문화탐방 모습. [사진=청도군]
 
경북 청도군이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절벽의 악 조건 속에서도 인력 수급 등을 원활히 해결해 청도의 주력 산업인 농업을 꾸준히 발전 시켜오고 있어 미래 농업의 새 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청도군은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심화되는 인력 난 문제에 적극 대응하며,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안정적으로 정착 시켜 전국 지자체의 모범 사례로 주목 받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청도군은 2023년 처음으로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도입해 필리핀 카빈티시시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고 84명의 근로자를 유치했다.
 
군은 근로자와 농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제도 운영을 위해 마약검사비와 산재보험료 지원, 통역 인력 배치, 월 1회 이상 근로 현장 점검 등 세심한 행정을 펼쳤으며, 그 결과 단 한 명의 무단이탈자 없이 제도를 안정적으로 운영했다.
필리핀 계절근로자로선발된 인원들이 공항에서 입국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청도군
필리핀 계절근로자로 선발된 인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청도군]
 
2024년에는 라오스 중앙 정부와 추가 협약을 맺어 근로자 규모를 135명으로 확대, 전년 대비 160% 증가를 달성했다. 또한 근로자들이 신속히 농작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모국어 농작업 교육 자료를 제작·배포하고, ‘홀리몰리 청도 문화탐방’ 등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정착 지원에도 힘썼다. 
 
2025년 현재 청도군은 356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배정 받아 운영 중이며 이 중 필리핀 84명, 라오스 58명 등 140여 명이 입국해 농촌의 부족한 일손을 보태고 있다. 올해는 필리핀 산토토마스시와 신규 협약을 체결하며 송출국을 확대했고, 카빈티시시와의 협력 3주년을 맞아 양 지자체 대표단이 상호 방문하며 우의를 다졌다.
 
특히 청도군은 현지 면접 선발제, 정기 현장 상담, 통역 지원 체계를 운영해 근로자와 고용 농가 간의 신뢰를 높였으며, 체계적인 관리와 현장 중심 행정을 바탕으로 2년 연속 법무부 ‘외국인 계절근로 우수지자체’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 같은 운영 경험은 농촌 인력 난 해소의 안정적 모델로 평가 받고 있다.
 
필리핀 카빈티시 대표단 청도군 방문 모습 사진청도군
필리핀 카빈티시 대표단 청도군 방문 모습. [사진=청도군]
 
이에 청도군은 한발 더 나아가 내년부터 공공형 계절근로자 제도를 도입해 단기간 인력이 필요한 소규모 영세 농가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협이 직접 운영하는 일일 단위 인력 배치 시스템을 도입해 농번기 인건비 급등을 완화하고, 농업근로자 숙소 건립과 농촌일자리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내·외국인 인력 수급 체계를 다각화할 방침이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청도군은 근로자와 농가가 함께 성장하는 상생형 농업 인력 지원 체계를 구축해왔다”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농업 기반 마련과 인력 안정화를 통해 활력 있는 농촌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