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레이건 연설 광고'에 분노…"캐나다 관세 10% 추가인상"

  • 무역협상 중단 이어 보복 강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캐나다가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관세 관련 연설을 활용해 만든 광고를 방영한 데 대한 보복 조치로 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추가로 10% 인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그들(캐나다)의 사실에 대한 중대한 왜곡과 적대 행위 때문에 나는 그들이 현재 내는 것에 더해 관세를 10% 인상한다"고 적었다. 그는 이번 관세 인상의 배경으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가 주관해 제작·방영한 방송 광고를 거론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는 최근 레이건 전 대통령이 1987년 4월 일본을 상대로 관세를 부과한 배경을 설명한 라디오 연설을 편집해 방영했다. 광고에는 레이건 전 대통령이 관세를 부정적으로 언급하고 자유무역을 옹호하며, 관세가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와 국민의 삶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격분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3일 캐나다와의 무역협상을 중단한다고 전격 선언하자,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27일부터 해당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밝히며 진화를 시도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는 레이건의 관세 관련 연설에 대한 사기 광고를 게재하다 현행범으로 적발됐다"며 "레이건 재단은 그들(캐나다)이 '레이건 대통령의 음성과 영상을 선별적으로 사용해 광고를 제작했다. 해당 발언의 사용 및 편집에 대한 허가를 요청하거나 받은 적도 없다'고 밝혔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사기의 유일한 목적은 캐나다가 수년간 미국을 해치기 위해 활용해온 관세 문제에서 미국 대법원이 자신들을 구원해줄 것이라는 희망이었다"며 "이제 미국은 캐나다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높고 가혹한 관세에 맞서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레이건은 국가 안보와 경제를 위해 관세를 사랑했지만, 캐나다는 그가 그렇지 않다고 했다"며 "그들의 광고는 곧바로 중단됐어야 했으나, 그들은 사기임을 알면서도 어젯밤 (미국 프로야구) 월드시리즈 도중에 방영되도록 방치했다"고 지적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미국과 두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인 캐나다 간의 중요한 경제 관계를 다시 한번 뒤흔들 수 있다고 위협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