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국가안보부 "美, 中국가시간서비스센터 해킹" 주장...미국은 침묵

  • 블룸버그 "서방의 中해킹 비판 잇따른 가운데 제기된 반격"

사이버 코드를 배경으로 노트북을 들고 있는 남성 일러스트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자국 국가시간서비스센터를 상대로 미국이 장기간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다고 주장했다. 미·중 간 사이버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이번 주장에 대해 미국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안보부는 공식 위챗 계정을 통해 성명을 내고 미국 국가안보국이 2022년 3월부터 국가시간서비스센터 직원들 휴대전화의 보안상 취약점을 악용해 기기를 공격하고 민감한 정보를 훔쳤다고 밝혔다.

국가시간서비스센터는 중국 북서부 시안에 위치한 중국과학원 산하 기관으로, 중국 표준시를 생성·유지·송출하며 정부, 산업, 시민 사회에 고정밀 시간을 제공하는 핵심 시설이다. 신화통신은 이곳이 사이버 공격을 받을 경우 통신망 마비, 금융시스템 장애, 교통 중단, 우주 발사 실패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짚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안전부는 최근 미국발 대규모 사이버 공격 사건을 차단하고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국가시간서비스센터에 침투해 "베이징 시간"의 보안을 위협하려 한 "명백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NSA는 2022년 3월부터 해외 스마트폰 브랜드의 문자 서비스 취약점을 이용해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해킹하고 2023년부터는 도난당한 로그인 정보를 반복 사용해 센터 내부 시스템을 감시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2023년 8월부터 2024년 6월 사이에는 42종의 특수 해킹 도구를 동원해 고정밀 지상 기반 시간 시스템을 포함한 핵심 인프라를 대상으로 고강도 공격을 감행했으며 가상사설망(VPN)과 위조인증서를 활용해 공격 경로를 숨기고 흔적을 지웠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이에 국가안보부는 "해킹 방지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당국의) 이 같은 비난은 최근 몇 년간 서방 정부와 기업이 자사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중국 해커들이 사이버 공격을 감행했다고 주장한 뒤 나왔으며, 미·중 무역 갈등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 제기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국가안보국은 이에 대한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