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13일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송부분 설정 관련 자동차부품업계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오주석 기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13/20251013115409178144.jpg)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13일 이같은 내용의 자동차부품업계 성명서를 발표했다. 지난달 환경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48% △53% △61% △65% 감축하는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업계에선 10년간 누적 840만대(2018년 대비 48% 감축)에서 980만대(65% 감축) 규모로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 보급이 이뤄져야 한다.
정부의 이같은 목표는 내연차 중심의 국내 자동차부품과 시장 여건을 고려할 때 달성이 극히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무공해차 980만대 시나리오로 갈 경우 2034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가 사실상 전면 중단돼야 한다는 게 조합의 입장이다. 내연기관 부품 수요 급감에 따라 기존 부품 산업은 존폐와 고용 불안정이 우려된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자동차부품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1만여개에 달하는 국내 부품 기업 중 45.2%가 엔진이나 변속기 등 내연차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종사자는 11만5000여명으로 전체 고용의 47.2%에 달한다. 반면, 부품기업의 미래차 사업 전환율은 19.9%에 불과하다. 72.6%에 달하는 부품 기업이 사업 다각화나 미래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택성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독일과 영국, 미국과 같은 자동차 선진국에서도 100% 전동화 목표를 미루거나 다양한 대체 기술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하고 있다"며 "온실가스 배출 효과가 입증된 하이브리드 차량을 탄소 중립 범주에 포함해 기업 간 선순환적 구조를 만들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조합은 마지막으로 중소·중견 부품기업이 미래차 재편에 참여할 수 있도록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관련 예산의 조속한 반영을 촉구했다. 이 이사장은 "감당하기 어려운 무공해차 생산목표를 견지할 경우 부품 산업 공급 체계의 악영향과 대규모 고용 위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며 "부품 생태계 유지와 고용 안정을 위한 현실적인 정책을 정부가 수립해줄 것을 간청드린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