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끝, 금감원 시계 분주…국감에 조직개편까지

  • 국감, 보안사고·PF 부실 등 쟁점 산적

  • 이후 '소비자보호 중심' 조직개편 본격화

서울 영등포구 소재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 영등포구 소재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긴 추석 연휴가 끝나면서 금융감독원이 국정감사와 연말 조직개편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취임 후 첫 국감 시험대에 오르는 동시에 소비자보호를 중심으로 한 조직개편 구상을 마무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만큼 금감원 내부도 분주한 분위기다.

9일 국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는 오는 21일 금감원 감사를, 27일 금융 분야 종합감사를 진행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 원장의 첫 국감인 만큼 준비 강도가 예년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며 "소비자 민원 등 예상되는 현안을 중심으로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국감에서는 최근 잇따른 해킹·보안사고 대응이 핵심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올해 들어 SGI서울보증·웰컴금융그룹·롯데카드·비플페이 등에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하면서 금융사 관리체계와 사고 대응 프로세스 전반을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금감원은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개별 금융사 전산 보안 실태 점검 강화와 금융보안원·금융사 간 정보공유 체계 보완 방안 등을 준비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서민금융기관의 건전성 악화 문제에 대한 금감원의 대응이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전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6월 말 기준 4.39%로 전 분기 대비 0.11%포인트 하락했지만 제2금융권의 토지담보대출 연체율은 29.97%에 달하며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신협의 내부통제 부실이 잇따른 만큼 현장검사 강화·리스크 관리 체계 보완 등 감독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국회 질문이 예상된다.

국감이 끝난 이후 금감원은 본격적인 조직개편 준비에 돌입한다. 연말 조직개편을 추진하면서 소비자 중심의 감독체계를 제도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수석부원장 주재로 운영 중인 '금융소비자보호기획단'이 그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기획단은 지난달 초 출범한 사전예방적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태스크포스(TF)를 확대·개편한 조직이며 전 부서에 관련 과제를 발굴·제출하도록 주문했다. 금융상품 제조·심사·판매까지 전 과정에 걸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선 결과물을 내는 것이 목표다.

금감원은 기획단 논의 결과를 연말 조직개편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현재로서는 금융소비자보호처(금소처)를 총괄본부로 격상하고, 은행·보험·금융투자 등 권역별 본부에서 민원과 분쟁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개편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찬진 체제의 첫 국감 대응과 조직 정비가 내년 감독 기조 방향을 가늠할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며 "대통령 취임 이후 조직개편 이슈로 다소 정체됐던 금융당국이 과제 해결과 함께 다시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