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지난 1일 윤석열 정부 때 추진하던 ‘기후 대응 댐’ 14곳 중 7곳의 건설을 취소한다고 발표하면서 경북 청도의 운문천 댐과 경북 예천의 용두천 댐이 여기에 포함된 것이 확인돼 지역사회의 반발을 불러왔다.
특히 청도의 운문천 댐의 건설의 취소가 발표되자 대구 시민들 사이에 취소의 부당함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대구광역시는 광역시 승격 이래 날로 팽창하는 시세에 기반 시설인 상수도의 취수원이 턱 없이 부족해 매년 가뭄과 갈수기에는 취수원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어 취수원 문제가 대구광역시의 오랜 숙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구광역시의 취수원은 서울, 인천, 광주, 울산 등의 다른 대도시와는 달리 식수의 70%를 낙동강에 의존하고 있어 가뭄이나 갈수기에 취약하고 강 상류의 오염 시 속수무책이어서 이에 따른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대구광역시는 자구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다른 취수원을 찾는 등 대응에 부심 중이다. 대구광역시의 이 같은 노력은 인근 지자체와의 마찰과 갈등으로도 이어졌는데, 민선 8기 홍준표 전 대구시장 시절 취수원의 이전을 두고 구미시와 마찰을 빚었고, 안동댐으로 이전을 시도했으나 이 역시 안동시 및 인근 주민과의 갈등 끝에 전면 백지화 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양질의 취수원인 ‘운문천 댐’ 건설이 취소되자 직접적인 당사자인 대구광역시는 발등에 불이 떨어져 여기저기에서 이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홍석준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부족한 상수도 문제를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는 ‘청도 운문천 댐’의 건설이 취소돼 다가올 겨울 가뭄과 내년 여름 가뭄이 걱정된다” 며 “대구는 분지라는 특수한 여건으로 인해 전국 평균 강수량을 밑도는 비가 매년 내려 해마다 물 문제로 큰 홍역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취수원의 70% 이상을 자연 하천인 낙동강에 의존하고 있어 특히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됨을 의미하는 ‘하상계수’가 심각하게 높고, 낙동강 상류의 오염 문제라도 발생하면 여기에 속수무책이며, 이번 정부의 취소 조치는 사전 공청회 등 의견 수렴 절차도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했을 뿐만 아니라 행정의 기본인 ‘신뢰 보호의 원칙’에도 크게 벗어나며 대구 시민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조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부가 예산 문제 및 효용성을 앞세워 ‘기후 대응 댐’ 중 ‘청도 운문천 댐’과 ‘예천 용두천 댐’의 건설을 취소한 것은 효용성과 예산 문제를 내세우고 있으나 취소된 두 곳 모두 현 정권의 취약지인 경북이라는 것은 우연이 라고 말하기엔 설득력이 떨어진다. 올해 여름 최악의 가뭄과 용수 난을 겪은 강릉 가뭄 사태와 같은 재난 수준의 사태를 겪지 않기 위해서라도 ‘청도 운문천 댐’의 건설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범어동에 사는 K 씨는 “대구에 살면서 항상 식수 문제가 마음에 걸렸다. 낙동강 물을 아무리 고도 정수 과정을 거친다고 해도 수돗물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그래도 깨끗한 청도의 상류에서 취수된 운문댐 물을 마실 수 있겠다고 기대했는데 이번 정부의 댐 건설 취소로 인해 물거품이 됐다”며 “정부와 대구광역시는 대구 시민의 먹는 물 걱정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