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폴란드에 전기차 구동모터 핵심 부품인 구동모터코아 생산 공장을 준공하고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아시아와 북미, 유럽을 아우르는 3대 생산 거점을 구축해 2030년까지 글로벌 구동모터코아 시장 점유율 10%를 목표로 잡았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일(현지시간) 폴란드에서 구동모터코아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 총 941억원을 투입해 준공한 폴란드 공장은 10만㎡ 규모로, 10월 시제품 생산을 거쳐 12월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폴란드 공장 준공을 발판으로 2030년까지 연간 전기차 750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구동모터코아 생산 체제를 갖춘다.
한국(포항·천안) 250만대, 멕시코 350만대, 폴란드 120만대, 인도 30만대 등이다.
고객사 생산 공장 인근에서 구동모터코아를 제작 공급하는 '로컬 투 로컬' 전략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시장 대응 속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구동모터코아는 전기차 심장으로 불리는 구동모터의 핵심 부품이다. 특히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구동모터코아에는 포스코그룹의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자체 개발한 엠프리 기술을 적용한다.
미량의 접착제를 도포해 겹겹이 적층하는 엠프리 기술은 돌기를 서로 연결해 접착하는 엠보 기술보다 에너지 효율은 높이고 소음·진동은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전기차 주행 거리와 정숙성을 향상시킨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33년까지 전기차 3500만대 규모의 구동모터코아 수주를 확보한 상태다.
폴란드 공장은 현대차·기아가 유럽에서 생산 예정인 전기차 168만대에 구동모터코아를 공급하고, 향후 폭스바겐 등 유럽 완성차 업체로 공급처를 확대할 예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 같은 수주 확대를 통해 구동모터코아 사업 매출은 올해 4500억원에서 2030년 1조50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은 "폴란드 공장은 유럽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는 핵심 거점"이라며 "포스코그룹은 전기차용 강재, 배터리 소재, 부품 등 그룹 차원의 통합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일(현지시간) 폴란드에서 구동모터코아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 총 941억원을 투입해 준공한 폴란드 공장은 10만㎡ 규모로, 10월 시제품 생산을 거쳐 12월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폴란드 공장 준공을 발판으로 2030년까지 연간 전기차 750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구동모터코아 생산 체제를 갖춘다.
한국(포항·천안) 250만대, 멕시코 350만대, 폴란드 120만대, 인도 30만대 등이다.
구동모터코아는 전기차 심장으로 불리는 구동모터의 핵심 부품이다. 특히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구동모터코아에는 포스코그룹의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자체 개발한 엠프리 기술을 적용한다.
미량의 접착제를 도포해 겹겹이 적층하는 엠프리 기술은 돌기를 서로 연결해 접착하는 엠보 기술보다 에너지 효율은 높이고 소음·진동은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전기차 주행 거리와 정숙성을 향상시킨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33년까지 전기차 3500만대 규모의 구동모터코아 수주를 확보한 상태다.
폴란드 공장은 현대차·기아가 유럽에서 생산 예정인 전기차 168만대에 구동모터코아를 공급하고, 향후 폭스바겐 등 유럽 완성차 업체로 공급처를 확대할 예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 같은 수주 확대를 통해 구동모터코아 사업 매출은 올해 4500억원에서 2030년 1조50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은 "폴란드 공장은 유럽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는 핵심 거점"이라며 "포스코그룹은 전기차용 강재, 배터리 소재, 부품 등 그룹 차원의 통합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