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K-관광 혁신TF가 설계해야 할 미래

기수정 문화부장
기수정 문화부장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최근 'K-관광 혁신 전담팀(TF)' 출범식을 열고 “관광은 지원이 아니라 투자”라고 선언했다. 단순한 보조금 살포나 보여주기식 행사에 기대던 관성을 끊고 관광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격상시키겠다는 의지다. 취임 직후 TF를 띄운 것만 봐도 그의 우선순위가 분명히 읽힌다.

정책 기류도 달라졌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와 공개 발언에서 바가지요금 근절, 대규모 할인 행사, 외국인 관광객 대상 혜택을 직접 언급하며 실무 카드를 제시했다. 내수와 지역경제 회복을 겨냥한 실행 카드가 제시됐다. ‘관광=산업’이라는 국가적 합의가 점차 형성되는 조짐이 뚜렷하다.

관광 혁신 TF는 이 흐름을 실행에 옮길 민관 합동 플랫폼이다. △방한시장 확대 △수용태세 개선 △지역관광 혁신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네 축이 의제인 만큼 더 이상 ‘회의체’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정책·현장·기업·소비자의 흐름을 한데 엮어내는 컨트롤타워가 되어야 한다.

타이밍은 절묘하다. 글로벌 흥행을 기록한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가 K-팝·드라마에 이어 새로운 한류 파동을 일으키고 있다. 항공사와 호텔·리조트는 이 수요를 ‘체류형 소비’로 묶기 위해 분주하다. 더불어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시행되는 중국인 단체관광 무사증 제도는 관광시장을 키울 확실한 모멘텀이다. 이어지는 국경절 연휴와 맞물리면 그 파급력은 배가될 것이다.

국제 무대의 시험대도 코앞이다.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항공·숙박·교통·안전·언어서비스 등 관광 수용태세 전반을 세계 기준으로 점검받는 자리다. 성공하면 도약의 발판이지만 준비가 미흡하면 상처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호재만으로 구조적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 TF는 세 가지 과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첫째는 신뢰 회복이다. 가격 투명성과 환불 규정, 결제 편의, 환급 절차가 안정돼야 관광객의 ‘안심’이 재방문과 소비로 이어진다. 둘째는 병목 해소다. 항공 좌석 부족, 숙박 인력난, 외국어 서비스 공백은 민간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제도와 재정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 셋째는 지역 분산이다. 수도권 쏠림을 벗어나 전국 곳곳으로 관광 동선을 넓혀야 한다. 교통망·통합패스·지역 특화 콘텐츠를 민관이 함께 설계해야 한다.

관광은 하나의 톱니가 아니다. 공항 접근성, 숙박 인프라, K-컬처·미식·의료·자연 체험이 유기적으로 맞물릴 때 성과가 나는 종합산업이다. 일본 사례가 보여주듯 성과는 단순한 수요 폭발이 아니라 공급의 정밀한 설계에서 나온다.

적토성산(積土成山), 작은 흙이 쌓여 큰 산을 이루듯 준비가 성과를 만든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우리도 준비만 갖춘다면 충분히 도약할 수 있다. TF는 이 설계를 책임지는 조직이 돼야 한다.

최 장관의 선언이 방향을, 대통령의 주문이 속도를 더했다. 이제 TF가 그 두 축을 성과로 잇는 일만 남았다. 업계가 술렁이는 지금이 바로 골든타임이다. 외국인을 맞이할 준비 수준이 한국 관광의 성패를 가른다. 이번 분수령을 도약의 출발점으로 만드는 것, 그것이 TF가 짊어져야 할 책무다.

지금 우리나라가 맞이한 이 기회는 '천재일우(千載一遇)'다. TF가 설계를 제대로 해낸다면 이 바람은 산업을 넘어 국가 브랜드와 미래 세대의 성장 자산으로 이어질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