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1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이 위원장의 대구시장 출마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방통위가 이진숙) 1인 체제로 무력화됐고 (이 위원장도) 정치적 발언을 계속하고 있다”며 “방통위는 정치적으로 오염되면 안 되는 조직인데 여러모로 부적절해 보인다”고 거취를 압박했다.
우 수석은 전날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대구시장을 이 위원장에게 양보하겠다고 한 발언을 거론하면서 “이 위원장이 출마할 생각이 있으면 그만두고 나가는 게 맞지 않나”라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이는 대통령실이 지난달 29일 이 위원장을 정치중립의무 위반으로 직권면직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에 이어 거취에 대한 압박 수위를 강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강유정 대변인은 이 위원장이 7월 감사원으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은 것을 지적하며 “정치중립의무 위반은 심각한 사안”이라면서 직권면직 검토 사실을 인정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이 위원장의 임기는 자동으로 종료된다. 다만 정치권은 물론 법조계 일각에서도 ‘위헌’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 과거 탄핵소추 사례처럼 이 위원장이 법적 대응을 통해 복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정치평론가 김철현 경일대 겸임교수는 "조직개편으로 이 위원장을 교체할 경우 법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며 "방통위는 법적으로 임기가 보장된 독립위원회인 만큼 헌법소원의 대상이 될 수 있고 만약 이 위원장이 탄핵 때처럼 복귀하게 된다면 정치적 몸집은 더 커지게 된다"며 "그전에 흠집을 내 역풍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의도"라고 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