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 장기전 각오한 독일…유럽국, 종전 해법은 제각각

  • 독일 총리 "우크라 전쟁 장기화 대비…지상군 파병 논의 없어"

  • EU 집행위원장 "우크라 내 안전보장군 배치 계획 구체적 논의"

  • 러 "유럽국, 우크라 지도부에 터무니없는 비타협 노선 부추겨"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 사진AFP·연합뉴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 [사진=AFP·연합뉴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우 평화 협상’의 쟁점 중 하나인 서방 군대의 우크라이나 주둔 문제에 대해서는 유럽연합(EU) 국가들 간 의견이 갈렸다.
 
메르츠 총리는 31일(현지시간) 독일 ZDF 방송 인터뷰에서 “(러·우) 전쟁이 더 오래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가능한 빨리 전쟁을 끝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의 항복이라는 대가를 치르면서까지 끝내려는 건 결코 아니다”라며 “우선순위 1번은 우크라이나 군대가 자국을 지속적으로 방어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르츠 총리는 지난 18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 여러 나라 정상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찾아가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을 논의했다.
 
그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자 회담을 끝내고 나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만남이 2주 안에 이뤄질 거라는 데 동의했다”고 언론에 알렸다.
 
하지만 이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조기 정상회담 가능성을 일축하고 전장에서 공세를 강화하자 비관론으로 돌아섰다.
 
메르츠 총리는 28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하면서 “지난주 우리가 워싱턴에 함께 있을 때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합의한 바와 달리 젤렌스키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회담은 성사되지 않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이 가운데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는 서방 군대의 우크라이나 주둔 문제를 두고 입장차를 드러냈다.
 
메르츠 총리는 “현재 시점에서 아무도 지상군 파병을 논의하지 않는다”며 큰 틀의 안전보장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뜻을 내비쳤다.
 
현재로서는 독일군의 우크라이나 주둔이나 평화유지군 파견 논의가 공식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유럽 각국이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의 일환으로 군대를 배치하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유럽을 순방 중인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영국, 프랑스가 주도하는 우크라이나 전후 안보협력체인 ‘의지의 연합’ 소속 국방장관들이 지난주 만나 “상당히 구체적인 계획을 논의했다”고 주장했다.
 
종전협상 당사국인 러시아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군대의 우크라이나 주둔을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중국 톈진에서 개막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행사장에서 로시야1 방송 기자와 만나 “유럽의 전쟁 모임은 기존 노선을 고수하고 있으며, 이를 수그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또 유럽 국가들은 푸틴 대통령이나 트럼프 대통령이 선택한 접근법과 달리 우크라이나 지도부에 터무니없는 비타협적 노선을 고수하도록 부추기고 있다고 페스코프 대변인은 지적했다.
 
그는 “이는 중대한 실수이며, 우크라이나 정권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우리는 정치·외교적 수단으로 문제를 해결할 준비가 됐지만 우크라이나에서 아무런 호응이 없었으며, 우리는 특별군사작전을 계속하겠다”고 부연했다.
 
한편 EU 집행위원장과 나토 사무총장, 영국·프랑스·독일 정상 등은 오는 4일 프랑스 파리에 모여 우크라이나 문제를 계속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