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물가·재정·국민소득 지표 줄줄이 공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앙동에서 열린 2026년 예산안 및 25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상세브리핑에서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앙동에서 열린 '2026년 예산안 및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상세브리핑에서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다음 주(9월 1∼5일)에는 우리나라 물가 흐름과 미래 재정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지표가 잇따라 공개된다.

먼저 1일부터 예금보호 한도가 현행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확대된다. 예금보험 한도 상향은 2001년 이후 24년 만이다. 금융당국은 제도 시행 첫날 은행 창구 등을 찾아 현장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조치에 따라 은행·저축은행·보험·금융투자 업권은 물론, 상호금융 조합·금고 예금도 1억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다.

2일에는 통계청이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한다. 최근 물가상승률은 2% 안팎에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폭염과 폭우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공급 차질과 수요 증가로 특정 품목 가격이 들썩이는 현상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3일에는 기획재정부가 향후 40년 이상을 내다본 장기재정전망(2025~2065년)을 발표한다. 국가재정법에 따른 이번 전망은 2020년에 이어 세 번째다. 이재명 정부가 확장재정을 공식화한 가운데 세수 부족으로 재정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어 이번 결과는 향후 재정 운용 부담을 가늠할 주요 지표로 주목된다.

같은 날 통계청은 '지난 30년간 혼인·출생 현황'을 내놓아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다시 환기시킬 전망이다. 한국은행도 이날 '2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한다. 앞서 발표된 속보치에서는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0.6%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민간소비(0.5%)와 정부소비(1.2%), 수출(4.2%)은 증가했지만 건설·설비투자는 모두 1.5% 감소했다. 잠정치에서 이러한 흐름이 얼마나 수정될지가 관건이다.

4일에는 금융위원회가 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을 내놓는다. 성실 상환 소상공인을 위한 신규 자금 지원책과 '금융비용 부담 경감 3종 세트'가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1일 보험업권, 4일 저축은행업권 등과의 간담회를 이어간다. 그는 지난 28일 은행장 간담회에서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강조하며 '이자 장사' 행태를 비판해 은행권을 긴장시킨 바 있어, 이번에도 추가 발언에 관심이 쏠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