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 "트럼프, 북한 김정은과 정상회담 열망 드러낸 점 우려"

  • "경호중단 걱정"…FBI 압수수색에도 반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턴 전 국가안보보좌관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사진=AFP·연합뉴스]

‘반(反) 트럼프’ 인사인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러 북한에 갈 수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26일(현지시간) 워싱턴에 있는 한미연구소(ICAS) 주최 온라인 세미나에서 “(어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에 대한 지속적인 매혹과, 첫 임기 중 3차례 했던 것 같이 또 다른 회담을 하는 것에 열망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리고 나는 회담이 성사된다면 평양에서 열릴 수 있다는 게 걱정된다”며 “지리적 진행을 보면 싱가포르에서 하노이, 비무장지대(DMZ)로 이어졌다.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과 만나기 위해 가보지 않은 곳은 한 곳이 남았고, 그게 북한의 수도”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 참석한다면 김 위원장이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후속 질문에 웃으면서 “흥미롭다”며 “우리는 당신(이재명 대통령)과 김정은의 만남을 주선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이 대통령에게 “그러길 바라느냐”고 물은 뒤 “현재로서는 어려운 질문이다. 하지만 나는 김정은과 사이가 좋고, 무엇이든 내가 한국과 관련해 사람들을 모으도록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함께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APEC 참석을 위한 방한을 계기로 잠시 자리를 벗어나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일을 할 수 있고, 김 위원장과의 북·미 대화나 이 대통령도 합류한 남·북·미 대화까지도 추진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다.
 
또 볼턴 전 보좌관은 “노벨 평화상을 정말 원하는 사람(트럼프)이 있는데 우크라이나(문제 해결)나, 내 생각에 완전히 옳은 일을 했다고 보는 이란 핵시설 폭격으로는 못 받을 것”이라며 “따라서 그 상을 받을 가능성은 이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잠재적 협상으로 좁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 수상을 위해 추진해 온 목표 중 하나로 러시아, 중국과의 핵군축을 지목한 뒤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핵무기 폐기에 준비가 됐다고 생각하며, 중국도 동의할 것이라고 믿는 듯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생각에 빠지면 미국, 러시아, 중국을 넘어 모든 국가가 포함된다는 점이 우려된다”며 “그럴 경우 북한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다는 뜻인데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을 생각하지 못 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볼턴 전 보좌관은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서로를 공격하기보다 서먹한 분위기를 깼다는 점에서 좋은 시작이었다”, “두 정상 모두 암살 시도를 겪었다는 점에서 실제로 유대감이 형성된 것 같다”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도중 주한미군 주둔지의 소유권 확보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이전에도 제기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부동산 개발업자이기 때문”이라며 “용산 미군기지가 폐쇄된 후 일부 개발업자들이 막대한 수익을 올린 사례를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 10% 확보 등을 언급하며 “그런 관점에서 보면 그가 미국을 사업체로 활용하는 것을 보면, 그가 또 어떤 생각을 할지 상상조차 안 된다”고 비꼬았다.
 
한편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자신에 대한 비밀경호국 경호를 중단한 데 이어 자택까지 압수수색한 데 대해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취임식 당일 트럼프 대통령은 나에 대한 비밀경호국 보호를 철회했다”며 “그래서 무엇보다 그 점이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알다시피 그게 우리가 활동하는 환경이다. 그냥 압도당할 수도 있고 계속할 수도 있다. 그래서 난 계속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이날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를 통해 지난 22일 있었던 연방수사국(FBI)의 압수수색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했다.
 
그는 “오늘날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정책은 지난 22일 그의 행정부가 내 집과 사무실에 수색 영장을 집행했을 때처럼 일관성이 없다”며 “혼란과 서두름으로 인해 무너진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은 노벨평화상 수상 운동과 함께 마지막 고비를 맞고 있을지 모른다”고 썼다.
 
볼턴 전 보좌관은 강경 외교·안보 정책을 주장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충돌을 거듭하다 해고된 후 반트럼프 인사로 목소리를 높여왔다.
 
볼턴을 눈엣가시처럼 여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하자마자 그에 대한 정부 경호를 중단시켰고, FBI는 기밀유출 혐의로 그의 자택과 사무실을 급습해 서류 등을 압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