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한·일 정상회담] "통상 압박 의견 교환 가능성…구체적 성과 나와야"

  • 전문가 "한일·한미·한미일 관계 주목 받을 것"

  • 정상 메시지에 "김대중·오부치 선언 환경 근접"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첫 회담을 가졌던 한·일 정상이 약 두 달 만에 다시 마주 앉는다. 최근 양국 정상이 각각 우호적 메시지를 내놓은 만큼 이번 회담에서 실질적인 협력 강화 의지가 확인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어떤 환경 속에서도 협력 기조를 유지해 나가자는 식의 양국 간 협의가 있을 것"이라며 "한·일, 한·미, 그리고 한·미·일 관계 부분도 주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어학과 교수도 "국제 정세가 엄중하고, 국내 경제 위기가 심각하므로 양국이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어떻게) 타개해 나갈 것인가에 대해 대안이 나와야 될 것 같다고 본다"며 경제 분야 협력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경제 협력 쪽으로 한국이나, 일본이나 이제 대미 통상 부분에서 상당히 압박을 받고 있는 건 사실이고, 방위비 분담 문제라든지 국방비 증액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상호 간 의견 교환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국익 중심 실용 외교' 기조에 부합하도록 이번 회담에서 일정 수준의 구체적 성과가 나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 연구위원은 "이번 방일은 굉장히 전략적으로 좋은 방문"이라면서 "정부에서 (추진하는 성과가) 구체적으로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액션 플랜' 등이 나왔으면 한다"고 제언했다.

양 교수 역시 "지금부터는 (성과를) 가시화시켜야 한다"며 "한·일 관계에서 자유무역협정(FTA)과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이 거론되고 있으므로 좀 더 진일보한 내용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광복 80주년이자 일본 패전 80년인 지난 15일 공개된 양국 정상의 경축사와 추도사를 통해 관계 개선 의지가 드러났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양 교수는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이 있었던 시기의 환경하고 좀 비슷해졌다"며 "과거사를 직시하면서 미래를 지향한다는 원점에 양국 정상이 좀 접근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