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군은 헌정회는 최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유해 어종을 사료·비료화해 저렴한 가격으로 농·어업인에게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특히 △생태계 교란 어종 포획·수집 협업 체계 구축 △수매 어종의 사료·비료화 통한 2차 산업화 △유해 어종 낚시 등 생태 체험형 관광 개발 등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이를 통해 경영비 절감,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 환경오염 방지, 생태계 복원 등 다각적인 효과를 전망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포획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으나, 소규모 예산 한계로 지속적인 퇴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 결과 피해는 양식 어가와 농업용수를 사용하는 농업인에게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다. 이에 더해 축산농가와 양식어가는 사료비 인상과 어분 수입 증가로 경영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국내 사료·비료 업계도 생산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희태 군수는 “이번 협약은 토속 어종 보호와 건강한 수중생태계 복원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유해 외래어종 퇴치와 자원화를 통해 환경보호와 농·어가 소득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