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오는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무역 협상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상호관세율 하향 조정이 최대 과제다. 정부는 미국이 원하는 대미 투자펀드 조성과 조선 분야 협력, 농산물 시장 개방 등 비관세 장벽 완화 카드를 통해 상호관세율을 일본이나 EU와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내리기 위해 막판까지 총력을 다하는 중이다.
이미 관세 후폭풍에 시달리는 자동차 업계는 품목 관세를 일본 등과 같은 15%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25% 관세율이 유지되면 현대차·기아는 영업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일본, EU 업체와의 가격 경쟁에서도 뒤처질 수밖에 없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분기 관세 비용이 1조6142억원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업계 관계자는 "독일 3사, 도요타 등과 미국에서 경쟁하려면 정부가 최소한 그들과 동일 선상에서 뛸 수 있도록 평평한 운동장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미국이 협상 열외를 주장해 논의 테이블에 오르지도 못한 국내 철강·배터리 등 업계의 고심은 더 깊어지고 있다. 철강 업계는 지난 6월부터 일부 품목에 50% 관세가 적용되며 수출 감소와 실적 악화가 현실화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7월 1~20일 기준 한국의 철강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감소했다. 업계는 중국산 저가 공세와 더불어 미국발 고율 관세가 이중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여기에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효과까지 고려하면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철강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관세 협상이 자동차 등에만 쏠려 있고, 철강은 여전히 정부의 관심 밖"이라며 "이미 수익성은 무너진 상황이고 미국의 추가 조치가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기감이 크다"고 전했다.
이차전지 업계도 비슷한 걱정을 한다. 미국이 예고한 25% 상호관세가 한국산 배터리 부품에 적용될 경우 국내에서 전극·분리막 등을 조달해 미국 공장에 공급하는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과의 단가 격차가 커지면 공급선 재조정 압박도 현실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