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기로 韓산업계] 정부, 조선업 앞세운 'MASGA' 카드...기업들 "할 만큼 했다, 불확실성 줄여야"

  • 미국 조선업 재건에 한국 기업·정부 공동투자

  • 조선 업계는 트럼프 무리한 요구 우려

  • 정부 정책 맞춰 대미투자 확대 일제히 검토

  • 한국 기업들, 관세율 15% 마지노선 제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의 면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의 면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이재명 정부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상호관세 관련 협의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대미 투자를 지속해 온 한국 기업들은 타결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관세 협상의 핵심으로 떠오른 조선 업계는 정부가 제안한 '마스가(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전략을 트럼프 행정부가 받아들일지 신중하게 살피면서 미국 조선소 신규 인수 효과 분석에 착수할 전망이다.

28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5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의 한·미 산업장관 협상에서 마스가 프로젝트를 핵심으로 하는 양국 조선 산업 협력 구상을 미국 측에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적 정치 구호인 '마가(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에 조선업(Shipbuilding)을 더한 프로젝트다. 한국 주요 조선사의 대규모 미국 현지 투자와 이를 뒷받침할 정부 차원의 대출·보증 등 금융 지원을 포괄하는 수십조원 규모 패키지로 구성됐다는 게 업계 예측이다.

경쟁력이 떨어진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려면 한국 조선 업계의 대규모 현지 투자가 필요한 만큼 정부 차원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해 한·미 협력의 효율을 극대화하겠다는 복안이다. 

미국 내 제조업을 되살리는 리쇼어링 정책을 펼치는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긍정적 반응을 끌어낼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일례로 일본은 미국 철강 산업의 핵심인 US스틸을 인수하며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의 물꼬를 텄다.

마스가 프로젝트가 타결되면 국내 조선 업계 수혜가 기대되지만 정작 조선사들 속내는 복잡하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속해서 무리한 투자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이 협상 과정에서 우리 정부에 대규모 대미 투자 펀드 조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업계의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다. 한 조선 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협력안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조선사별 미국 진출 전략이 달라 투자 리스크가 존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자 주체가 관건"이라며 "미국 내 조선업 투자는 위험성이 크고 투자비 회수 등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정부가 보조금 등의 금융 지원에 앞장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국내 3대 조선사인 HD현대·한화오션·삼성중공업은 정부의 정책 방향에 발맞춰 미국 시장 투자를 준비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한화오션은 미국 필리조선소 인수 등 현지 투자에 적극적이다. 반면 HD현대중공업은 미국 조선소를 인수하거나 새로 짓는 것에는 신중한 입장이다. 직접 진출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미국 조선소와 공동 수주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삼성중공업도 미국 조선소들과의 협력을 위해 접촉 중이지만 사업 진행은 걸음마 단계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처럼 대미 관세 협상에 민간 기업이 앞장서 총대를 메는 상황인 만큼 재계에선 정부가 빠르게 협상을 타결하는 등 불확실성 해소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달 초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2025년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과반인 53.3%가 하반기 최대 수출 리스크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꼽았다. 특히 응답 기업의 92%는 '미국의 관세 인상률이 15%를 넘으면 감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관세 인상률이 10% 미만이어도 감당하기 어렵다는 기업도 42%에 달했다. 일본·유럽연합(EU) 등이 미국과 합의한 15% 관세를 우리 역시 마지노선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25% 상호관세가 현실화하면 대미 수출 비중이 큰 국내 제조업에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미국과 협상으로 관세율을 고정해 기업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