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전장연)을 비롯한 장애인 단체들이 23일 국정기획위원회를 찾아 권리중심 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를 요구하는 시위를 시도하다 제지됐다.
전장연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한자협), 전국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협회 등은 이날 오전 11시 15분께 국정기획위가 있는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을 방문해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에게 권리중심공공일자리를 제공하라는 내용이 담긴 자료를 전달하려 했으나 실패하자 소형 텐트를 이용해 농성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텐트를 이용한 농성에 실패하자 국정기획위 내부에서 '보건복지부는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인정하라', '또, 또, 또 권리중심노동 외면?'이라는 내용 등이 담긴 피켓을 펼치며 의견을 전달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어 박경석 전장연 공동대표는 오전 11시 20분께 박수현 균형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권리중심공공일자리를 제공해 달라고 요구했고 박 위원장은 "잘 전달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들은 오전 11시 35분께 이태호 기획분과 위원과 서연희 사회1분과 전문위원에게 관련 자료를 전달했다. 박 공동대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우리를 폭력 조장 단체로 조롱했듯 이재명 정부의 보건복지부에서 이러한 인식 속에 배제되는 사실이 불쾌하다"며 "배제하지 말아달라"고 주장하며 이 위원장에게 자료 전달과 접견을 요구했다.
그러자 이 위원은 "어디에도 장애인 권리 중심이라는 단어를 쓴 바가 없다"며 "문서 작업으로 될 일이 아닌 큰 싸움이라는 것 아시지 않느냐"고 답했다. 서 위원 역시 "이 위원장과 분과장들에게 제안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권리중심공공일자리는 기능·실적 중심의 장애인 일자리에서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의 권고에 맞춰 ‘장애인 권리생산’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한 일자리다. 이날 이들은 국정기획위에 재활·시장중심 일자리와 차별화를 요구하고 특성·기본원칙을 확립해 달라는 내용을 골자로 한 자료를 전달했다.

한편 이들은 이날 오후 2시부터 국정기획위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어 시위를 이어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