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 통합 '지리한 평행선'

  • 김관영 지사 완주 전입 시도에 군민들 반발…도·전주시·정치권, '통합시 설치법' 추진 공언

  • 우범기 시장, 출근길 통합 효과 홍보…유희태 군수, 행안부에 여론조사 건의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 정동영·이성윤 국회의원이 진행한 기자회견에 완주군의원과 주민들이 통합반대를 외치고 있다사진김한호 기자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 정동영·이성윤 국회의원이 진행한 기자회견에 완주군의원과 주민들이 통합반대를 외치고 있다.[사진=김한호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 최대 현안인 완주·전주 통합이 지리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도와 전주시, 전주 정치권이 통합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반면, 완주군에서는 반대 의견이 더욱 분명해지는 모양새다.

21일 김관영 도지사는 완주군 삼례읍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완주군 삼봉지구의 한 아파트로 전입신고를 마쳤다. 이 아파트에서 전주시 완산구에 위치한 전북도청으로 출·퇴근하면서 일과 시간 전후 간담회나 길거리 대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주민과 소통하겠다는 의지에서다.
 
우범기 전주시장앞줄 왼쪽 두 번째이 21일 옛 송천역 사거리에서 진행된 ‘완주·전주 통합 출근길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사진전주시
우범기 전주시장(앞줄 왼쪽 두 번째)이 21일 옛 송천역 사거리에서 진행된 ‘완주·전주 통합 출근길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사진=전주시]
우범기 전주시장도 이날 아침 일찍일 옛 송천역 사거리에서 진행된 ‘완주·전주 통합 출근길 캠페인’에 참여해 통합에 대한 공감대 확산에 나서기 시작했다.

우 시장은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면서 완주와 전주가 이미 하나의 생활권이고, 두 시·군이 제도적 통합을 통해 더 크고 강한 광역 거점도시로 거듭나야 할 때임을 알렸다.
 
김관영 전북도지사왼쪽 두 번째와 우범기 전주시장맨 왼쪽 정동영 국회의원 이성윤 국회의원이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전주 통합 찬성 단체들이 제안한 105개 상생 발전 방안을 통합시 설치법에 명문화하겠다고 밝히고 있다사진김한호 기자
김관영 전북도지사(왼쪽 두 번째)와 우범기 전주시장(맨 왼쪽), 정동영 국회의원, 이성윤 국회의원이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전주 통합 찬성 단체들이 제안한 105개 상생 발전 방안을 '통합시 설치법'에 명문화하겠다고 밝히고 있다.[사진=김한호 기자]
김 지사와 우 시장은 이어 더불어민주당 정동영(전주병)·이성윤(전주을) 국회의원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전주 통합 찬성 단체들이 제안한 105개 상생 발전 방안을 '통합시 설치법'에 명문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완주·전주 통합과 맞물려 ‘거점 특례시 지정’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 요청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반면 유희태 완주군수와 군의원, 주민들은 통합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완주군의원과 주민들은 이날 김관영 지사가 전입신고를 한 삼례읍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완주군 없애는 통합행위 중단하라’, ‘통합 결사반대’ 등이 적힌 현수막을 들고 전입신고 창구 주변을 둘러싸는 등 통합에 대한 강력한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이들은 이어 도와 시, 정치권의 기자회견장에도 참석해 ‘재원은 어떻게 마련하는가’ 등을 외치며 일방적인 추진에 항의했다.

이에 앞서 군의원과 주민들은 2차례에 이어진 도지사와의 대화를 거부한 바 있다.
 
유희태 완주군수사진완주군
유희태 완주군수.[사진=완주군]
유희태 군수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우범기 전주시장의 ‘만남 제안’과 관련해 언론을 통한 일방적인 방식에 깊은 유감을 나타냈다.

유 군수는 “행정통합은 주민의 삶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인 만큼, 충분한 공감대와 의견 수렴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향후 임명될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행안부 주관의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여론조사를 건의하고, 그 결과 과반수가 반대할 경우 즉시 통합 논의를 즉시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군은 오해와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조만간 읍‧면 단위로 찾아가는 설명회와 소식지 등을 통해 군민들에게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