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수준의 집값 상승률을 기록했던 경기 남부 상급지의 매수세가 대출 규제 이후 대폭 꺾이고 있다. 규제 전까지 과천과 함께 수도권 집값 상승을 견인했던 성남시 분당구 역시 이달 들어 계약 취소 물량이 쏟아지고, 매매 거래도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며 직격탄을 맞고 있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성남시 분당구에서 지난달 10일부터 이날까지 계약된 아파트 매매 거래 중 ‘해제사유 발생일’이 대출 규제 발표일인 6월 27일 이후인 거래는 모두 37건을 기록했다. 이 기간 전체 계약 물량(910건)의 약 4%가 규제 발표 이후 해제된 것으로, 대출 규제 발표 당일 계약이 해제된 경우가 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일부 거래는 규제 발표 직전 계약이 체결됐다가 취소된 사례도 나왔다.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봇들마을’ 아파트의 경우, 전용 59㎡ 매물이 규제 발표일인 지난달 27일 15억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됐지만 직후 대출 규제 발표로 당일 바로 계약이 해제됐다. 수내동 푸른마을(벽산) 전용 131㎡ 매물 역시 지난달 24일 19억5000만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됐지만 규제 발표일인 27일 계약이 해제가 이뤄졌다. 정자동 한솔마을(3단지)전용 59㎡도 같은 달 13일 11억500만원에 매매거래가 이뤄졌지만, 규제 발표 당일 계약을 물리는 사례가 발생했다.

분당구에서 대책 발표 이후 신고된 해제 사례 중 매매가격이 10억원 이상인 아파트 비중은 전체 해제 건수의 약 78%(27건)로, 고가 아파트가 대출 규제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5억원 이상 아파트의 해제 비중도 전체 건수의 약 35%(13건) 가량을 차지했다.
정자동의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분당 자체가 최근 가격 오름세가 커서 14억원 안팎의 물건은 모두 규제 영향 아래 있다고 보면 된다. 최근 취소 물량 역시 자금 부담으로 인한 영향”이라면서 “중대형 평수는 아예 거래가 전무할 정도로 타격이 크다”고 말했다.
재건축을 중심으로 견조하던 매매거래는 규제 직후에 대폭 감소했다. 국토부 통계에 따르면 대출 규제가 시행된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1일까지 24일간 분당에서 체결된 아파트 거래 건수는 47건에 그친다. 신고 기한이 한달임을 감안해도 이전의 24일간(6월 4일~27일)의 거래량 1150건과 비교하면 급속도로 쪼그라들었다. 규제 전인 6월 마지막 주 1.17%에 달했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7월 둘째주에는 0.4%로 상승폭이 둔화됐다.
다만 1기 신도시 추진 등 변어 강남권 등 서울 상급지와는 다른 조정 속도와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분당 역시 대출규제 영향으로 가격 조정 흐름이나 매수세에서 당분간 관망세가 짙어질 수밖에 없다”면서도 “서울과 달리 비규제지역과 1기 신도시 추진이라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서울 상급지와는 다른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