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본촌산단 지하수에서도 1급 발암물질...알고도 방치

  • 하남산단과 닮은 꼴 ...광산구, 북구 모두 수년 동안 무대책

 
광주 북구 본촌산단 오염도 사진연합뉴스
광주 북구 본촌산단 오염분포도. [사진=연합뉴스]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 지하수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된 데 이어 북구 본촌산단에서도 1급 발암물질이 대량 검출돼 파장이 커지고 있다.
 
광산구처럼 북구도 지난 수년 동안 이 사실을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북구가 후속 대책으로 설치한 보조관측망은 오염 방지책이 아니어서 손 놓고 있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16일 광주 북구에 따르면 북구는 2019년 말부터 2021년까지 2년 동안 본촌산단 일대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 실태조사를 했다.
 
광주시가 2019년 지하수 관리 계획을 세우던 중 본촌산단 일부 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염물질이 검출되자 북구가 정밀 조사를 한 것이다.
 
조사 결과 43곳 중 14곳에서 TCE(트라이클로로에틸렌)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특히 옛 로케트건전지 부지에서는 공업용 수질 기준치의 9배, 호남샤니 부지에서는 11배에 이르는 고농도 TCE가 검출됐다.
 
또다른 발암물질인 PCE(테트라클로로에틸렌)는 모든 곳에서 기준치 이하였고 토양 시료에서는 오염물질이 기준 미만이거나 불검출로 나타났다.
 
TCE는 금속 부품 세정제, 접착제 첨가제, 농약에 사용되는 유기염소계 화합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북구는 본촌산단이 조성된 다음 환경 관련 법령이 정비되기 전인 1980∼1990년대 사용된 TCE, PCE 때문에 오염된 것으로 추정했다.
 
조사 보고서에는 양수처리 공법을 적용해 오염 지하수를 정화하고 오염 확산을 차단하는 방안이 포함됐고 사업비 54억원이 산정됐다.
 
하지만 북구는 예산 문제를 들어 정화 사업을 실행하지 않았다.
 
다만 2021년 9월 3500만원을 들여 본촌산단 하류에 수질 보조관측망 1대를 추가 설치했지만 이는 지하수의 수위와 수온, 전기전도도 등 3가지 항목을 측정하는 시설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보조관측망은 단순히 지하수가 고갈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어서 오염 차단 대책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또 TCE는 분해가 잘되지 않아 신속하게 차단하지 않으면 주민의 건강은 물론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다고 강조했다.
 
북구는 “환경부가 추진하는 '토양·지하수 환경조사' 사업 대상지에 본촌산단이 포함돼 연말에 나오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시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