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신정훈(전남 나주·화순) 의원과 김원이(전남 목포) 의원이 지난 7일 한남동 관저에서 전남 현안을 논의하고 10·19 여순사건 추념식에 이재명 대통령의 직접 참석을 요청했다.
신정훈 의원은 9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번 만찬은 선거 이후 처음으로 이루어진 당과 국회, 대통령 간의 허심탄회한 대화가 오간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말하며, 여순사건 추념식 참석 요청의 배경을 설명했다.
신 의원은 "여순사건은 대한민국 계엄령 1호가 발동된 사건으로, 국가폭력에 의해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역사적 아픔이 담겨 있다"며 "대통령께서 직접 추념식에 참석해 유가족을 위로하고 사건의 의미를 되새겨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여순사건에 대한 진상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경과를 지켜보며 검토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자리에 참석한 김원이 의원 또한 SNS를 통해 "목포와 전남 지역 주요 현안을 대통령께 전달했으며, 소외된 지역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대통령께서는 작은 사안 하나도 놓치지 않고 경청하셨다"고 덧붙이며, 지역 균형발전과 국민과의 약속 이행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느꼈다고 평가했다.
이번 만찬은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 후 주요 당내 인사들과의 소통을 통해 정권 초기 국정운영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여권 내 공감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자리가 됐다. 특히 여순사건과 같은 국가폭력의 상처를 치유하고, 유가족과 국민의 아픔을 어루만지는 기회로 이어질지 이목이 모아지고 있다.
10·19 여순사건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 전남 여수와 순천 등지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 사건으로, 계엄령 발동 시기 국가에 의한 폭력이 중심 이슈였던 역사적 사건이다. 그간 정부 주도의 진상조사 및 희생자 유가족 위로가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국가 차원의 사과나 대규모 지원 논의에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