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광주시, 이번엔 어린이 버스요금 전액 지원

  • 광주 G-패스...6~12살 어린이 대중교통 무료, 청소년은 50% 할인

 
광주시가 어린이들에게 대중교통 요금을 전액 지원하기로 해 주목된다 사진광주시
광주시가 어린이들에게 대중교통 요금을 전액 지원하기로 해 주목된다. [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가 어린이 친화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손자녀돌보미’와 ‘초등학부모 10시 출근제’ 같은 혁신적인 정책을 시행하더니 이제는 어린이 버스요금 무료인 ‘광주형 G-패스’를 도입했다.
 
광주시는 지난 6월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상위인증’을 받아 광역자치단체를 대표하는 ‘아동친화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했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형 G-패스’는 아이들의 대중교통 이용료를 전액 지원한다. 6~12살 어린이는 전액 무료고 13~18살 청소년은 50% 할인된다.
 
광주에서 사는 모든 어린이는 별도 신청 없이 기존 교통카드에 자동 적용되고,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아이들의 이동권을 보장해 활동 범위를 늘리고 사회성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이미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을 지원해 아동의 정서 안정과 부모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는 ‘손자녀돌보미’와 학부모의 유연근무를 지원하는 ‘초등학부모 10시 출근제’를 시행하고 있다.
또 소아과 오픈런 등을 막고 아이들이 제때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야간·휴일 소아진료를 확대하기 위한 ‘공공심야어린이병원’을 확충했다.
 
남구와 북구, 광산구에 달빛어린이병원 1~3호를 차례로 확대 지정해 소아 의료 공백을 줄였다.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도 눈에 띈다.
 
소상공인 아동양육자에게는 아이돌봄서비스 비용으로 월 60만원씩 최대 6개월간 총 360만원을, 여성 1인 자영업자는 대체인력비로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 △이웃과 함께 자녀를 돌보는 육아품앗이 정책 ‘삼삼오오 이웃돌봄’ △다양한 출산·육아용품을 기부와 나눔으로 순환되고 있는 ‘출산맘 나눔가게’ 등 공동체 기반 돌봄 환경 조성을 통해 육아 친화적 분위기를 확산하고 있다.
 
광주시는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복지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결식 우려 아동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급식 단가를 9000원에서 9500원으로 인상했다. 가정위탁 아동들의 강하고 안정적인 성장과 위탁부모의 양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올해부터 가정위탁아동 양육보조금을 최대 45만원 인상했다.
 
또, 어린이집에 다니는 3세 아동을 대상으로 ‘영유아 발달 컨설팅’을 올해 새롭게 도입해 성장발달이 느리거나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영유아를 조기 발견해 맞춤형 상담과 치료를 연계하는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영동 여성가족국장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아동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광주는 ‘아동친화정책을 선도하는 도시’로서 아동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