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안보 핵심 거점인 부산항을 둘러싼 민·관·군·경·소방의 협업 체계가 한층 강화된다.
부산항만공사(BPA)와 제53사단 부산여단은 9일 국가중요시설 방호위원회를 공동 개최하고, 북항 일대 주요 기반시설의 통합방호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부산 내 국가중요시설의 실효성 있는 통합방호계획 수립을 위해 마련됐다.
국가 중요 기반시설을 직접 관리·운영하는 BPA를 비롯해 육군, 경찰, 해경, 소방, 지자체 등 관계 기관 관계자 6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참석자들은 BPA 항만안내선에 승선해 북항 주요 시설을 선상에서 직접 점검하며 현장 중심의 논의를 이어갔다.
감천항, 영도대교 인근 해역, 항만 운영시설 등을 둘러보며 시설별 취약 지점과 방호대책을 공유하는 한편, 유사시 공동 대응 체계의 실효성을 점검했다.
특히 변화하는 국제 정세와 테러·재난 상황에서의 유기적 협업 필요성이 강조됐다.
BPA와 군·경·소방은 안보 위협과 재난 발생 시 기관 간 신속하고 정확한 역할 분담과 공조체계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참석자들은 “방호계획은 실제 위기 상황에서 작동할 수 도록 준비돼야 한다”며 “상호 협력과 지속적인 훈련 없이는 실전 대응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BPA 관계자는 “이번 방호위원회는, 변화된 안보환경에 대응하는 통합방호 전략을 논의하는 실질적 계기가 됐다”며 “특히 선상 견학을 통해 현장의 위험요소를 직접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한 것이 큰 성과”라고 밝혔다.
부산항만공사 송상근 사장은 “부산항은 단순한 물류 중심지를 넘어 국가경제와 안보의 최전선에 있는 핵심 기반시설”이라며 “국가중요시설의 방호체계를 민·관·군·경·소방이 함께 다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정기적인 협업과 훈련을 통해 통합방호 역량을 더욱 고도화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BPA는 매년 정기적으로 유관기관과 합동 위기관리 대응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실제 상황을 가정한 모의훈련을 통해 실전 대응력을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감시정찰 드론과 스마트 경비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항만 안보 대응 기술 고도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