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5664억원·교육청 1699억원, 올해 2차 추경 편성

  • 시 "민생경제, 시민 삶 안전망 등 희망 미래 준비"

  • 교육청 "학생중심 교육 등 현장 실질 수요 반영"

왼쪽부터 부산시청 전경 부산교육청 전경사진박연진 기자
왼쪽부터 부산시청 전경 부산교육청 전경[사진=박연진 기자]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이 2025년도 제2회 및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각각 편성하며 민생 안정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재정 투입을 확대한다고 26일 밝혔다.

두 기관이 확정한 추경 규모는 총 7363억원에 이르며, 복지, 안전, 교통, 미래산업, AI교육 등 시민 삶과 직결되는 분야에 집중 투자된다.

부산시는 본예산 대비 3.3% 증가한 5664억 원 규모의 제2회 추경안을 마련했다. 추경 재원은 세계잉여금과 세외수입 증가분, 국고보조금 등으로 확보됐다.

시는 민생경제 회복 및 미래성장동력 확보(851억원), 복지공동체 구현(534억원), 시민안전도시 실현(526억원), 시민 편의 증진 및 삶의 질 향상(784억원) 등 4개 분야에 균형 있게 예산을 배분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6일 브리핑에서 “불확실한 시대일수록 지방정부는 시민 삶의 안전망이 되어야 한다”며 “현재의 삶은 안전하게, 미래는 희망 있게 준비할 수 있도록 재정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으로는 중소기업 매출채권 보험료 지원 확대, 수출신용보증료 지원, 중소·벤처기업 성장 펀드 조성, AI·양자기술·수소 등 미래 신산업 육성 예산이 포함됐다.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위한 ‘영수증 콘서트’, 농어업 공익수당 도입, 크루즈·의료관광 확대 등도 담겼다.

복지 예산은 저소득층 긴급복지, 노인 일자리, 장애인 활동지원, 청년 주거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산후조리비 등 전 생애주기 맞춤형으로 편성됐다. 형제복지원 피해자 지원금 증액, 전세사기 피해자 주거비 지원 등도 포함됐다.

또한 폭염·침수 예방을 위한 인프라 정비, 통학로 CCTV 설치, 응급의료체계 강화, 체육시설 확충 등 시민안전을 위한 투자도 늘었다. ‘동백패스’ 모바일화, 도시철도 통신망 개선, 도시고속화도로 준공 등 교통 편의도 개선된다.

한편 이날 부산시교육청도 본예산 대비 3.2% 증가한 1699억원 규모의 제1회 추경안을 편성, 발표했다. 교육청은 "학생 중심 교육, 믿음과 존중이 살아있는 학교,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이라는 3대 정책 방향에 따라 예산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추경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은 미래역량 강화 교육(308억원)에 배정됐다. AI 기반 학습지원 프로그램, 디지털교육 연구학교 운영, 자기주도학습 시스템 강화, 특수교육 및 직업계고 지원 예산이 포함됐다.

양성평등 교육, 성폭력 예방, 교직원 AI 비서 도입, 독서교육 및 체육활동 확대 등 인성·행정지원 분야에도 67억원이 편성됐다. 특히 학교시설 보강(519억), 통학로 정비, CCTV 설치, 안전요원 추가 배치 등 학교 내·외부 안전 강화를 위한 예산도 690억원에 이른다.

김석준 교육감은 “이번 추경은 교육 현장의 실질적 수요를 반영한 것”이라며 “학생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의 추경예산안은 각각 오는 6월 4일부터 열리는 제329회 부산광역시의회 정례회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