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이 ‘트럼프 2기’를 상대할 대선후보들의 외교안보 관련 공약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센터장은 19일 “조기 대선이 이루어지다보니 이재명, 김문수 후보 모두 제일 중요한 미국과 중국에 관한 제대로 된 정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미·중 정책을 모호하게 가져가는 것은 최선이 아니다. 두 후보 모두 트럼프 2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고 짚었다.
또 정 센터장은 이 후보는 우리나라 안보 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가 뭘 대비해야 될지에 대한 입장이 전혀 없는 반면, 김 후보는 모두 미국에 의존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북한 핵 문제와 안보에 대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엄효식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총장은 “윤석열 정부의 국방정책을 대부분 계승했다”며 “핵 잠수함, 핵잠재력 등 핵관련 내용이 공약으로 들어간 것은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했을 때 집권 이후 은밀하게 추진할 사항이다”라고 강조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미국의 전략적 유연성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미국이 전략자산을 상시 주둔에 준하는 수준으로 전개할 리 만무하다”며 “주변국 반발로 한반도 긴장은 더욱 고조될 것이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