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셀트리온은 12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 트럼프 대통령 약가 인하 계획 관련 당사 대응 전략'을 공개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이번에 예고된 처방약 가격 인하 내용은 미국 정부에서 정부자금으로 지원하고 있는 메디케어·메디케이드 등 공보험 시장 영역에 국한될 전망이다.
미국에서 대략 30% 내외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공보험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은 이미 치열한 가격 경쟁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 방향과 부합하고 있다.
이어 "보험사, 미국 주요 처방약급여관리회사(PBM)와 최저가로 협상을 진행하는 등 의약품 가격이 이미 낮게 형성되어 있어, 이번 가격 인하 정책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예고된 처방약 가격 인하 정책은 고가의 오리지널 의약품의 경쟁 활동 제한을 유도할 수 있어 오리지널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대체되는 속도를 한층 가속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미국에서 오리지널 제품인 휴미라의 경우 7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등 아직 바이오시밀러가 시장을 확보할 영역이 충분하다.
끝으로 셀트리온은 "추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미국 현지 상황을 체크하면서 대응 전략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며 "아직 세부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은 만큼 발표 내용이 나오는 대로 이를 검토해 우려하시는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전략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