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 이모저모] 대선후보 최종 7인 中 부정선거 주장 무려 3명?

국군정보사령부 요원들이 지난해 12월3일 선거관리위원회에 진입해 시스템 서버를 촬영하고 있다 이들은 이후 방첩사 요원들에게 서버를 인계하라고 지시받았으나 방첩사 요원들은 당일 선관위로 가지 않았다 사진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군정보사령부 요원들이 지난해 12월3일 선거관리위원회에 진입해 시스템 서버를 촬영하고 있다. 이들은 이후 방첩사 요원들에게 서버를 인계하라고 지시받았으나 방첩사 요원들은 당일 선관위로 가지 않았다. [사진=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앵커멘트) '뉴스의 행간을 읽다' ABC 이모저모입니다. 22일 앞으로 다가온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최종 7명이 후보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 가운데 지난 대선과 총선이 부정선거로 치러졌다고 의심하는 사람이 세 명이나 있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박상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지난 11일 제21대 대선 후보 등록이 마감됐습니다. 그런데 최종 7명의 후보 중 3명이 부정선거 담론을 옹호하는 정치인들 입니다.

우선 이번 대선후보 기호 1번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2번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4번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5번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6번 구주와 자유통일당 후보, 7번 황교안 무소속 후보, 8번 송진호 무소속 후보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 중 부정선거 담론을 옹호하는 후보는 김문수, 구주와, 황교안 세 후보입니다.

김문수 후보는 최근 국민의힘 경선 토론회에서 부정선거 의혹의 합리성을 인정하며 "사전투표제를 폐지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습니다. 구주와 자유통일당 후보는 사랑제일교회 전광훈 목사와 연대하며 "부정선거가 국가를 혼란으로 몰아넣았다"고 주장했고, 황교안 무소속 후보는 "지난 대선과 총선은 물론 최근의 국힘 경선도 부정선거로 치러졌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전문가는 "사법부를 흔드는 민주당도 문제지만 선거를 부정하는 세력은 더 문제"라며 "사법부의 판결 그리고 선관위의 선거를 불신하는 태도는 상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다만, 타 후보들과 달리 부정선거 의혹을 적극 옹호하기 보단 '선거 부실'에 초점을 맞춰 발언 수위를 조절해 온 김문수 후보가 향후 선거 국면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공세를 어떠한 방식으로 방어하면서 중도층 표심을 지킬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됩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