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당초 6월로 예상했던 미·일 관세 협상을 7월로 미룰 것이라고 아사히신문이 11일 보도했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서둘러 합의할 필요는 없다”며 7월 8일 전후로 방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직접 협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당초 이시바 총리는 오는 6월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때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큰 틀의 합의를 추진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한 미국 내 반발 여론이 거세지면서 관세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7월 초쯤 트럼프 대통령이 유화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일본 정부는 섣부르게 합의할 경우 협상에서 불리한 조건을 감수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미국 측의 입장 변화를 신중히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현재 이시바 총리는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전후를 협상 시점으로 염두에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하기 위한 방미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아사히신문은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이 다가올수록 미국 내 반발 여론이 거세질 가능성이 높아 “트럼프 대통령이 입장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또 미·일 관세 협상이 우호적으로 타결되면 협상 성과가 7월에 예정된 참의원(상원) 선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시바 총리는 선거 공고 전후를 우선 협상 시점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여론의 관심이 관세 협상에만 집중될 수 있어 선거가 끝난 7월 하순도 협상 시기로 거론된다. 참의원 선거 투개표는 7월 20일로 예상된다.
한편 일본과 미국은 지난 1일 워싱턴DC에서 미국 측과 2차 장관급 관세 협상을 진행했으며 3차 협상은 이달 중순 이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트럼프 정부가 자동차와 철강 등에 이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에 착수하면서 항공 산업의 국제 분업 체계에 편입된 일본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다만 아사히신문은 미국이 일본 측의 자동차 관세 철회에 난색을 보여 일본 측 구상대로 협상이 전개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