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한전, 웨스팅하우스에 북미·유럽시장 내줬다

  • 합의문에 수주활동 가능·불가 국가 명시

체코 두코바니 마을 인근 원전발전소 사진EPA·연합뉴스
체코 두코바니 마을 인근 원전발전소 [사진=EPA·연합뉴스]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전력이 올해 초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합의로 인해 북미, 유럽, 우크라이나 등 시장 진출이 가로막혔다. 이들 국가에서는 웨스팅하우스만 수주에 나설 수 있고 한수원·한전은 중동, 동남아시아, 남미지역 일부 국가에서만 신규 수주를 받을 수 있다.

19일 한국일보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월 한수원·한전과 웨스팅하우스가 체결한 '글로벌 합의문'에는 한수원·한전이 원전 수주 활동이 가능·불가한 국가 명단이 첨부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한전이 신규 원전 수주 활동을 할 수 있는 국가는 동남아시아(필리핀·베트남),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 북아프리카(모로코·이집트), 남미(브라질·아르헨티나), 요르단,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북미(미국·캐나다·멕시코), 체코를 제외한 유럽연합(EU) 가입국, 영국, 일본, 우크라이나 등은 웨스팅하우스만 진출할 수 있다는 내용이 명시됐다고 한국일보는 보도했다.

한수원·한전은 웨스팅하우스에 신규 원전 수출 시 지급하기로 한 로열티와 일감 등의 지급을 보증하기 위해 원전 1기당 4억달러(약 5600억원) 규모의 신용장을 발급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출석해 폴란드 원전 사업 철수 계획을 묻는 질의에 "일단 철수한 상태"라며 폴란드 사업 철수 방침을 확인했다. 한수원은 그동안 폴란드를 유력한 추가 원전 수출 후보지로서 공을 들여왔다.

황 사장은 철수 이유와 관련해 "폴란드 새 정부가 들어오면서 원래 투 트랙으로 진행하던 정부 사업과 국영기업 사업이 있었는데 국영기업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해서 철수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