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주 주도로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4.97포인트(0.70%) 상승한 4만1113.9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4.37포인트(0.43%) 오른 5631.2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48.50포인트(0.27%) 상승한 1만7738.16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이날 연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회견에서 "발표된 큰 폭의 관세 인상이 지속된다면 인플레이션 상승, 성장세 둔화, 실업률 증가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느끼지 않고 인내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데이비드 켈리 JP모건 최고글로벌전략가는 CNBC에 이날 연준 발표에 대해 "행간을 읽어보면 행정부의 정책이 높은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로 이어지고 있다고 경고를 보내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AI 칩 수출통제 정책을 철회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엔비디아가 3.1% 오른 117.06달러(16만3778원)에 거래를 마치는 등 반도체주들의 강세가 두각을 나타냈다. 미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주가도 각각 2.36%와 1.31% 올랐다. 퀄컴과 AMD 주가도 각각 3.15%와 1.76% 올랐다.
이에 힘입어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약세에서 장 막판 반등하며 1.76% 상승 마감했다.
반면 애플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검색이 구글과 같은 기존 검색 엔진을 대체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 주가는 7.26% 급락했다. 디즈니는 이날 '깜짝 실적' 발표에 주가가 10.76% 뛰었다.
한편, 투자자들이 연준의 성명과 파월 의장의 발언을 다소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으로 해석하면서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약화됐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의 결정 이후 오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전날 22%에서 29%로 상향 반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