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주요이슈]새로운 도약 준비하는 여수, 박람회·축제·산업 지원 잇단 호재

◆ D-500 기념,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SNS 인증샷 이벤트 개최
다섬이랑 인증샷 찍고, 선물 받고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D-500 기념 SNS 이벤트 사진여수세계섬박람회조직위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D-500 기념 SNS 이벤트. [사진=여수세계섬박람회조직위]
(재)2026여수세계섬박람회 조직위원회는 박람회 개최 500일 전을 기념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SNS 인증샷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는 5월 9일(금)까지 진행되며, 참여자는 마스코트 ‘다섬이’와 함께 사진을 찍어 개인 SNS(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에 해시태그를 포함해 게시하고, 이를 조직위에 제출하면 된다.

이번 이벤트는 △다섬이와 귀엽거나 유쾌한 커플 포즈 취하기 △다섬이 포즈 따라 하기 △다섬이를 배경으로 D-500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등 3가지 챌린지 중 하나를 수행해 인증샷을 남기면 된다.

참여자 중 500명을 무작위로 추첨해 치킨 기프티콘(30명), 커피 기프티콘(470명)을 경품으로 제공하며, 당첨자는 5월 12일(월) 박람회 공식 SNS를 통해 발표된다.

조직위 관계자는 “D-500을 기념해 500명의 당첨자를 선정했다”며 “일상 속에서 ‘다섬이’를 친근하게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많은 참여를 당부했다.
 
◆ 여수시, 전국 첫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연구개발, 고용안정 등 2년간 집중 지원…지역 경제 회복 ‘청신호’
산업부 장관 주재로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여수시를 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확정 지었다 사진여수시
산업부 장관 주재로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여수시를 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확정 지었다. [사진=여수시]
여수시가 전국 최초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30일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통해 여수시를 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확정했다.

이번 지정으로 여수시는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등 다양한 정책금융 지원을 우대받게 되며, 지역 협력업체와 소상공인에 대한 만기연장, 상환유예, 보증 프로그램도 지원된다. 고의·중과실이 없는 경우 금융기관 담당자 면책도 적용된다.

이와 함께 연구개발, 경영자문, 고용안정 등 다양한 지원사업이 2026년 이후 예산에 반영될 예정이다. 여수시가 건의한 16가지 주요 제도 개선 과제에 대해서도 전라남도와 중앙부처 간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

정기명 여수시장은 “이번 지정은 지역경제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여수 석유화학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의 활력을 회복하겠다”고 강조했다.
 
◆ ‘여수거북선축제’ 5월 3일 개막…역사와 현대 기술의 만남
통제영길놀이부터 30여 개의 체험행사까지 ‘풍성’
여수거북선축제 통제영길놀이 사진여수시
여수거북선축제 통제영길놀이. [사진=여수시]

전라좌수영의 호국 문화와 역사를 조명하는 제59회 여수거북선축제가 오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이순신광장과 중앙동 일원에서 열린다.

올해 주제는 ‘삼도수군의 함성, 새 희망을 꿈꾸다’로, 역사적 의미를 현대 기술로 재해석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선보인다. 

축제의 시작은 5월 3일 오후 6시 30분 ‘통제영길놀이’로 장식되며, 1500여 명의 시민과 단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거리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이어 중앙동로터리에서는 전문 공연팀의 승전보 재현과 역사 강사 최태성의 해설이 어우러진 공연이 이어지고, 오후 8시에는 이순신광장에서 대형 거북선이 등장하는 개막식과 함께 해상전투 퍼포먼스, 불꽃쇼가 열린다.

이 밖에도 △이순신 퀴즈 경연 △태권무 대회 △뮤지컬 ‘THE 이순신’ △멀티미디어 해상전투 퍼포먼스 등 30여 개의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축제장 내 별도 음식부스는 없으며,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진남상가 차 없는 거리 프리마켓, 룰렛 이벤트, ‘나 여기 있소’ 등 다양한 연계 행사도 운영된다.

시는 불법 노점상 예방을 위해 순찰 근무반을 편성해 사전 차단에 나섰으며, “올해 축제는 역사성과 변화를 동시에 담은 특별한 행사로 준비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