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의 수동적인 민원 접수와 현장 신고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선제적 행정으로 전환하고 있는 사례이다. 위기 가구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지 못한 채 위기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구시는 전기, 가스, 수도 요금 연체 정보를 분석해 복지 위기 신호를 감지하고, 해당 징후가 포착된 가구에 대해 관할 행정복지센터가 신속하게 조사하는 체계를 운영 중이다.
지난해와 올해 3월까지 3532가구가 데이터 기반으로 발굴됐으며, 해당 가구에는 기초 수급 60건, 긴급 복지 33건, 기타 공공 서비스 36건, 민간 서비스 130건, 정보 안내 2270건 등 맞춤형 서비스가 연계됐으며, 이 같은 시스템은 대구시가 꾸준히 추진해 온 데이터 기반 행정의 성과다.
특히 2025년에는 행정안전부 공공 빅데이터 분석 사업에 ‘상수도 데이터 기반 소화전 사용 시스템 구축’ 과제가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선정되며, 데이터 기반 행정 역량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류동현 대구광역시 ABB산업과장은 “대구시는 데이터를 중심에 두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활용해 사각지대 없는 따뜻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