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전기‧가스‧수도 요금 연체 정보 분석 '위기 가구' 찾아

  • 생활 데이터로 위기 가구 찾는다

대구시 ABB산업과는 전기 가스 수도 요금 연체정보를 분석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있다 사진대구시
대구시 ABB산업과는 전기, 가스, 수도 요금 연체정보를 분석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있다. [사진=대구시]
대구광역시 ABB산업과는 전기, 가스, 수도 요금 연체 정보를 분석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 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기존의 수동적인 민원 접수와 현장 신고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선제적 행정으로 전환하고 있는 사례이다. 위기 가구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지 못한 채 위기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구시는 전기, 가스, 수도 요금 연체 정보를 분석해 복지 위기 신호를 감지하고, 해당 징후가 포착된 가구에 대해 관할 행정복지센터가 신속하게 조사하는 체계를 운영 중이다.
 
지난해와 올해 3월까지 3532가구가 데이터 기반으로 발굴됐으며, 해당 가구에는 기초 수급 60건, 긴급 복지 33건, 기타 공공 서비스 36건, 민간 서비스 130건, 정보 안내 2270건 등 맞춤형 서비스가 연계됐으며, 이 같은 시스템은 대구시가 꾸준히 추진해 온 데이터 기반 행정의 성과다.
 
대구시는 행정안전부의 ‘데이터 기반 행정 실태 점검’에서 2023년과 2024년 모두 ‘우수 등급’을 받았으며 복지를 포함한 안전, 환경, 교통, 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 데이터 기반 행정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2025년에는 행정안전부 공공 빅데이터 분석 사업에 ‘상수도 데이터 기반 소화전 사용 시스템 구축’ 과제가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선정되며, 데이터 기반 행정 역량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류동현 대구광역시 ABB산업과장은 “대구시는 데이터를 중심에 두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활용해 사각지대 없는 따뜻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