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과의 협상 타결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한국과 인도가 미국을 착취해 왔다고 주장하며, 현재 미국과 무역 및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한국 및 인도에 압박을 가하고 나선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뉴스네이션이 주최한 행사에서 사회자들과 전화 통화를 진행한 가운데 "우리는 지금 한국, 일본 및 다른 많은 국가들과 협상을 하고 있다"며 "인도는 매우 큰 협상국이다. 그들은 협상을 매우 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을 위해 나쁜 협상 대신 위대한 협상을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관세율로 우리를 심하게 착취해왔다"며 "그들은 우리를 이용해왔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에게 협상을 요청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한국, 일본, 인도 등 3개 국가와의 협상 결과를 언제 발표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그들과) 합의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이에 사회자가 "(미국) 국민들이 예민해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언급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하나 말할 것은 한국은 우리를 착취해왔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군대를 위해 (돈을) 지불하고 있다. 내가 그곳(한국)에 갔을 때 나는 그들이 군에 수십억 달러를 지불하도록 했다. 우리가 그들의 군대를 위해 지불해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당시 한국에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한 것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무역에 있어서도 우리를 이용해왔다. 우방과 적국이란 것들이 이렇다"며 "우리는 종종 적국과 더 나은 거래를 한다. 우방들은 무역에 있어 우리를 매우 잔혹하게 대해왔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현재 미국이 무역 및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한국, 인도 등에 압박을 가해 협상을 유리하게 진행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미국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주도로 한국, 일본, 인도, 베트남 등 주요 아시아 교역국들과 우선적으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 와중에 그리어 대표 역시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한국과의 협상 상황에 대해 "한국은 매우 적극적이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아울러 전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전날 CNBC에 출연해 이 중 한 국가와의 협상이 완료됐다고 언급한 가운데 인도와 협상이 우선적으로 체결됐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역시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도와의 무역 협상에 대해 “인도는 잘 진행되고 있다. 난 우리가 인도와 합의할 것이라 생각한다”며 “그들은 합의하고 싶어 한다”고 말했고, 베선트 장관도 “인도와 우리는 매우 근접해 있다”며 “그들은 높고 많은 관세가 있기 때문에 (비관세 장벽보다) 더 협상이 용이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