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 최세나요청 2025-03-19

[김윤섭의 MONEY! 부동산] 금리 인하에 꿈틀거리는 집값...'내 집 마련' 지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윤섭 기자
입력 2025-03-08 1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준금리 인하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이 빠르게 회복되는 가운데 '내 집 마련'에 나서려는 실수요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집값 상승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은 커지며 집값은 물론 거래량과 매매심리까지 회복세에 진입했지만 미분양 문제가 여전한 데다 대출 금리 인하 속도, 탄핵 정국 등의 변수가 남아있어 상승세가 지속될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시장 개선 기대감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정책 변화 등 추가적인 호재가 작용할 경우 늦어도 하반기에는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실수요자들은 내 집 마련 준비에 나설 시기라고 진단했다. 

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건수는 이날 기준 3603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최다 거래량이다. 2월 아파트 거래가 이달 말까지 신고마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월 5000건을 넘어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건수는 지난해 7월 9224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8월 6531건으로 떨어졌다. 이후 9월(3175건), 10월(3843건), 11월(3412건), 12월(3195건), 올해 1월(3297건) 등 월 3000건에 그쳤다. 만약 2월 거래량이 5000건을 넘어선다면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최대 거래량이다.

거래 회복세에 힘입어 집값도 상승세가 확연하다. 한국부동산원이 6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를 보면 이달 3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14% 올랐다. 특히 송파구는 한 주 만에 0.68% 올라 2018년 2월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올해 누적 인상률은 2.08%에 달한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미 IAU 교수)는 "금리 인하로 투자 여력이 생긴 데다 향후 2~3년간 공급 감소 우려 등이 맞물려 수요자들의 심리를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의 심리 지수를 보여주는 지표들도 상승 전환했다. 

KB부동산 조사 결과 지난달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26.2를 기록해 전달 대비 0.5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8월 37.6을 찍은 뒤 하락세를 그리다가 이달 들어 6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서울은 44.2를 기록하며 전달 대비 8.8포인트가 뛰었다. 가격전망지수는 90.4를 나타내며 전달 대비 4.9포인트가 올랐다. 지난해 9월 이래 5개월 만의 상승 전환이다. 서울은 한 달 사이 85.8에서 97.3까지 올라섰다. 

전문가들은 매수심리가 개선된 상황에서 추가적인 호재가 생길 경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추가적인 금리인하, 불확실성 제거 등 상승 요인이 나타나기 전에 미리 움직이는 것이 좋다고 봤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자금 마련 계획이 확실하고 여력이 된다면 당장 내 집 마련에 나서는 게 좋다"며 "빠르면 1분기, 늦어도 상반기를 전후로 시장이 움직일 가능성이 커 빠르게 매수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도 "가격 상승 분위기가 일부 형성되는 상황에서 토허제 해제, 금리 인하가 집값 상승에 대한 심리를 더욱 자극했다"며 "집값 상승 흐름이 강남권 외 지역까지 확산할 수 있는 데다 서울의 경우 공급 물량도 부족하기 때문에 실수요자라면 지금 내 집 마련 움직임에 나서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 전문가들은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실수요자들은 신생아특례대출 등 정책대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물량이 많은 대규모 입주장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지난해 연말부터 신생아 특례대출의 소득 기준을 맞벌이 가구 기준으로 1억3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했다.

심형석 교수는 "입주장이 큰 규모로 형성된 지역은 가격도 어느 정도 조정을 받고, 매매가 아닌 전세 물량도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선택권이 많을 수 있다"며 "또한 향후 대출 규제도 완화될 가능성이 있고, 정부의 정책 대출도 계속 적용되는 만큼 이를 활용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