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대부업체인 피에스(PS)파이낸셜에서 최소 수천억 원에 달하는 '폰지사기'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법인보험대리점(GA)의 내부통네 관리 부실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판매 수수료로 수익을 내는 GA의 영업 구조상 유사수신행위 등 불법 행위에 노출되기 쉬우나 이에 대한 책임은 아무도 지지 않으면서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5일 경찰 등에 따르면 피에스파이낸셜 폰지사기 피해자 중 미래에셋금융서비스나 메트라이프 등 유명 보험 설계사에게 상품 가입을 권유받은 이들의 제보가 잇따른다. 예컨대 일부 피해자들은 미래에셋금융서비스에서 운영하는 '2030 월급관리 스터디'라는 캠페인에 가입한 뒤 소속 보험 설계사들과 함께 월급 관리에 대해 교육을 받았다. 이런 교육 과정에서 설계사들은 피에스파이낸셜 상품 가입을 권유했다.
이런 판매 과정에서 불법 정황도 드러난다. 피해자들은 "미래에셋과 연관된 상품인 것처럼 설명했다" "프라이빗뱅커(PB)와 같이 고액자산가들에게만 안내하는 상품이라고 소개했다"고 주장했다. 한 피해자는 "본인 소개를 미래에셋금융서비스 재무설계사이자 팀장이라고 말했다"면서 "그는 미래에셋 변액보험 상품을 추천하면서 피에스파이낸셜 채권 가입을 권유하는 등 마치 미래에셋에서 협약해 상품을 판매하는 것처럼 속였다"고 토로했다.
GA는 다수 보험사 상품을 한곳에서 비교·판매할 수 있는 독립적인 법인 대리점을 말한다. 금융소비자는 여러 보험사 상품을 한눈에 비교해 본인 상황에 맞는 보험을 선택할 수 있지만 판매수수료를 중심으로 한 영업 구조상 보험을 빙자한 유사수신행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대부분 GA 설계사는 독립적인 개인사업자로 분류되며 개인영업 활동 결과에 따라 수익이 직결된다. 이렇다 보니 일부 GA 설계사는 유명 금융회사의 넓은 영업망을 이용해 고객을 끌어들이고, 유명 브랜드 인지도를 악용해 불법적인 상품을 판매해 수수료 수익을 받는 것이다.
GA 업계는 설계사들에게 교육과 훈련, 판매 지침 등을 제공하지만 설계사 수가 많고 독립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책임이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는 설계사의 영업 활동이 GA 브랜드 체계 안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간과한 주장이며 금융감독원은 대형 GA의 위법행위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우선 금감원은 GA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감독 중 유사수신 등 문제 발견 시 즉각 경찰에 신고하고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사 과정에 (협조가) 필요한 부분들을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남에 대형 건물에 번듯하게 위치한 사무실에서, 소속이 명시된 명함을 내밀며 영업이 이루어지는데, 누가 의심을 하겠습니까? 수 년동안 수십차례에 걸쳐 범행의 장소로 사용을 해왔는데 단순히 관리 감독 소홀로 넘어갈 문제가 아니죠.
이런 식이면 뭘 믿고 소비자들이 거래를 합니까. 위촉된 설계사라 하더라도 업무의 범위, 금지사항 등 엄연한 계약을 맺은 사람들인데 당연히 위반 사항에 대한 책임을 묻고 피해자들에 대한 사과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 아닌가요?? 피해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도 없나요?
GA의 모든 행동을 관여할 수 없다고 해도, 특정 대기업(ㅁㄹㅇㅅ)의 명함을 밀고, 해당 기업의 회의실에서 판매된 폰지사기 상품입니다.
정말 GA 위촉직 계약서에 유사수신행위 금지, 협약된 상품만 판매하라는 항목 있는거죠??
없다면 서약서라도 받았겠죠?? 교육은요??
증거 보여줄 의무 없다고 말하지 말고 명확한 해명 부탁드립니다.
또한, ㅁㄹㅇㅅ 등 대기업 GA도 피해자라고 생각되면 이 사태를 발생시킨 위촉계약직 영업자들에게 사내규정위반 및 명예훼손으로 형민사 소송 할거라 믿겠습니다.
기사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도 미래에셋금융서비스 영업자에게 피에스파이낸셜 폰지사기 당했습니다. 저같은 분들이 또 없으시길 빌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