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지 된 줄 모르고 판 땅으로 '손실보상금 소송'…법원 "서울시, 원주인에 83억 보상하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규홍 기자
입력 2024-05-27 10:24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한강 인근 땅이 국유지가 된 줄도 모르고 타인에게 토지를 팔았던 사람이 뒤늦게 손실보상금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

    재판부는 손실보상청구권은 하천 편입 당시 토지 소유자에게 귀속된다는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청구권을 가진 H씨에게 서울시가 보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시는 H씨가 땅을 팔 때 매수자들에게 손실보상청구권도 함께 넘겨준 것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재판부는 "하천구역으로 편입돼 국유로 된 토지는 사인 간 거래에 객체가 될 수 없으므로, 원고가 이 사건 각 토지를 매도했더라도 그와 같은 매매는 원시적으로 불능인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계약으로서 무효"라고 판결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서울행정법원, H씨 서울시 상대로 낸 손실보상금 소송에서 H씨 손 들어줘

  • H씨, 1964년 땅 샀다가 1975년, 1983년에 나눠 판매...해당 토지 1971년에 국유지 편입

  • 재판부 "청구권 가진 H씨에게 서울시가 보상금 지급해야"

법원 사진연합뉴스
법원 [사진=연합뉴스]
한강 인근 땅이 국유지가 된 줄도 모르고 타인에게 토지를 팔았던 사람이 뒤늦게 손실보상금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 법원은 서울시에 83억원을 원주인에게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양상윤 부장판사)는 H씨가 서울시를 상대로 낸 손실보상금 소송 1심에서 지난달 12일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재판부는 감정평가 결과에 따라 서울시가 H씨에게 83억4768만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앞서 H씨는 서울 강서구(당시 영등포구)의 답(논) 1353평을 1964년 사들였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1975년과 1983년에 각각 나눠 판매했다.

그런데 1971년 개정 하천법이 시행되면서 H씨 소유 땅은 법적으로는 하천 구역에 편입돼 국유지가 됐다. 당시 H씨는 물론이고 매수자들도 이를 모르고 땅을 거래했다. 뒤늦게 서울시는 1989년에 땅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고 H씨가 아니라 땅 매수자들에게 손실보상금을 지급했다. 이 같은 사실을 뒤늦게 전해 들은 H씨는 작년 2월 서울시를 상대로 손실보상금 청구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손실보상청구권은 하천 편입 당시 토지 소유자에게 귀속된다는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청구권을 가진 H씨에게 서울시가 보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시는 H씨가 땅을 팔 때 매수자들에게 손실보상청구권도 함께 넘겨준 것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재판부는 "하천구역으로 편입돼 국유로 된 토지는 사인 간 거래에 객체가 될 수 없으므로, 원고가 이 사건 각 토지를 매도했더라도 그와 같은 매매는 원시적으로 불능인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계약으로서 무효"라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하천법상 손실보상 조항이 1984년에야 마련됐으므로 땅을 거래할 당시 거래 당사자들은 '손실보상청구권' 존재를 알 수 없었다"며 "이에 따라 이를 묵시적으로라도 넘겨준 것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시가 매수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한 것을 두고는 "해당 토지가 하천구역으로 편입될 당시 소유자가 누구였는지 등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는데도 손실보상금 지급 당시 소유자로 등재돼 있던 이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 같은 판결에 시는 반발했고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