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 "정부 지원 프로그램 대환영"...1등 반도체 국가 이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일용 기자
입력 2024-05-23 15:3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석열 정부가 26조원 규모 반도체 산업 종합 지원 프로그램을 발표한 것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강한 환영의 뜻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전부 (기업) 자기 돈으로만 계속 투자하는 형태가 잘 안 나오니까 전 세계 다른 국가들이 자기네 나라로 반도체 생산을 끌고 가고 싶어하면서 보조금 얘기가 많이 나오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한국도 캐펙스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그러지 못하면 반도체 산업이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는 쪽으로 자꾸 흐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정부의 반도체 지원 정책은 미국·일본 등이 추진하는 보조금과 같은 직접 지원 대신 금융·세제 혜택과 인프라 조성 등 간접 지원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 글자크기 설정
  • 미래지향적 정책 평가...투자 계획 차질 없이 진행

  • 간접 지원 극대화 초점...최태원 "한국 인프라·인재 우수"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 DB]
윤석열 정부가 26조원 규모 반도체 산업 종합 지원 프로그램을 발표한 것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강한 환영의 뜻을 드러냈다. 두 회사는 미국·대만·일본 반도체 기업과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메모리·파운드리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려 1등 반도체 국가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23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관계자는 "정부의 이번 지원 정책은 반도체 산업의 미래 경쟁력 향상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용수, 도로 등 인프라를 국가가 책임지고 조성하겠다고 한 정부의 발표 내용은 미래지향적이고 건설적인 내용"이라며 "삼성전자는 이를 계기로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도 적극 환영하는 뜻을 드러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지원 정책은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치열한 글로벌 경쟁 속에서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용인 클러스터 등 기존에 계획한 투자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고 안정된 국내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에도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앞서 지난 2일 반도체 경쟁력은 기업 홀로 투자한다고 향상할 수 있는 게 아니고, 다른 국가에 뒤처지지 않도록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한 바 있다.

당시 최 회장은 "반도체 미세화가 상당히 어려워진 만큼 공급을 늘리려면 생산 라인을 더 건설하고 투자를 계속해야 한다"며 "그러다 보니 기술만으로 해결이 안 되고 캐펙스(CAPEX·자본적지출)로 해결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에 계속 부딪힌다"고 반도체 업계 상황을 진단했다.

그러면서 "전부 (기업) 자기 돈으로만 계속 투자하는 형태가 잘 안 나오니까 전 세계 다른 국가들이 자기네 나라로 반도체 생산을 끌고 가고 싶어하면서 보조금 얘기가 많이 나오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한국도 캐펙스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그러지 못하면 반도체 산업이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는 쪽으로 자꾸 흐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정부의 반도체 지원 정책은 미국·일본 등이 추진하는 보조금과 같은 직접 지원 대신 금융·세제 혜택과 인프라 조성 등 간접 지원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17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산업은행의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이다. 금융 지원으로 국내 반도체 기업이 공장 신축과 라인 증설 등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도 유동성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지원한다. 

또 올해 일몰되는 반도체 세액공제를 연장해 기업이 대규모 투자를 하면 일정 비용을 되돌려 주기로 했다. 경기도 남부 일대에 조성 중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전기, 용수, 도로 등 인프라를 정부가 책임지고 빠르게 만든다.

이달 초 최 회장은 보조금이 해외 투자의 직접적인 유인책이 되는지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 "솔직히 보조금이 많은 것은 시스템이 안 돼 있거나 인건비가 비싸다거나 하는 나름의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며 "한국은 다른 시스템이 아주 잘 갖춰져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