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삼국지] 美 갈지자 행보·지정학적 리스크에…고심 빠진 韓·中·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근미 기자
입력 2024-01-30 0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 연준 '속도조절론' 고개…한국도 금리 인하 시점 밀릴까 촉각

  • "이번엔 진짜?" 日 출구전략 상반기 관측···中 금리 인하 가능성도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 사진 가운데부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왼쪽 판궁성 중국 인민은행 총재  사진아주경제DB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 사진 가운데부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왼쪽), 판궁성 중국 인민은행 총재(오른쪽) [사진=아주경제DB]

한국의 경우 연내 피벗(통화정책 전환) 가능성이 제기되고 일본과 중국도 각각 긴축과 완화 카드를 만지작거리지만 시기와 속도를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세계 통화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피벗 시점이 불분명한 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물가·경기 변수까지 더해져 각국의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증폭되고 있다. 

◆ "3분기? 4분기?" 韓 금리 인하 시점 의견 엇갈려···"연준·물가·경기가 변수"

29일 한국은행과 시장 전문가 등에 따르면 올해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이견이 없으나 세부 시점에 대한 의견은 엇갈린다. 이르면 2분기, 늦어도 3분기(6~9월)라는 전문가 시각이 다수인 가운데 최근 들어 이보다 더 늦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고개를 들고 있다. 실제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한국의 금리 인하 개시 시점을 3분기로, 씨티은행은 4분기로 각각 제시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12월 기자들과 만나 "향후 6개월 정도는 금리 인하를 예측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긴축 장기화를 시사한 바 있다. 

일단 대내외 분위기 상으로도 조기 금리 인하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국 통화정책과 동조화 관계에 있는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높아서다.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에 따르면 오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한 달 전(11.5%)보다 높은 50%대를 웃돌고 있다. 목표치(2%)를 웃도는 물가도 금리 인하를 주춤하게 하는 요인이다. 반면 내수 부진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 등 경기 악화는 피벗 시점을 앞당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이번엔 진짜?" 日 출구전략 상반기 관측···'침체의 늪' 中 금리 인하 가능성

일본의 경우 마이너스 금리 종료에 대한 시장 기대가 지속적으로 제기됐으나 결과적으로 모두 빗나갔다. 지난해 2월 신임 일본은행(BOJ) 총재로 매파적 성향의 우에다 가즈오 도쿄대 명예교수를 임명하면서 금리 인상에 파란 불이 켜지는 듯했으나 새 총재는 여전히 신중론을 설파 중이다. 우에다 총재는 지난해 9월 언론 인터뷰에서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 이후에도 물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결론이 서면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언급해 하반기와 연말 금리 인상 기대감을 높였지만 이 역시 불발됐다. BOJ가 대내외 여건을 들어 통화정책에 고심하는 사이 엔화 환율은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다.

시장에선 올 상반기 일본 정책금리 인상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구체적인 시점으로는 3월과 4월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일본이 상반기 금리를 인상할 경우 무려 17년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것이다. 실제 BOJ는 완화적 통화정책의 출구전략 시점을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26일 공개한 금융정책결정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현재 (초완화적) 통화정책에서 벗어날 시기와 그 이후 적절한 금리 인상 속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논의를 계속 심화할 필요성에 위원들이 동의했다"면서 "금리 인상 적정 속도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논의하기로 합의했다"고 명시했다.

이와 함께 불황의 늪에 빠진 중국의 경우 올해 거시정책을 완화적 기조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다. 다음 달 5일 시행할 지준율 인하 조치는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육책에 가깝다. 지난주 동결한 우대대출금리(LPR)를 1분기 중 인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시중에 유동성을 대거 공급하는 대신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지원 가능성이 높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부장은 "주요 IB들은 LPR을 지난해 3.45%에서 올해 3.30%로 미세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중국 통화정책은 올해 소폭 완화 가능성이 있으나 중립적이며 선별적 지원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