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 관련 제재 조치를 강화하는 데 비해 EU는 모니터링과 위기 대응 역량 강화에 나섰다는 점에서 제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실제 미국의 경우 중국 제재를 위해 우려 대상국에서 반도체 생산능력의 실질적 확장 및 중요 거래 금지, 해외 우려 대상 기관과의 공동 연구 및 기술 라이센싱 금지, 미국산 및 미국에서 파생된 첨단 반도체 및 장비의 대중국 수출 통해 강화 등을 실시하고 있다.
다만 한국 기업에는 미국의 반도체 보조금이 미국 진출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까다로운 신청 요건 △미국과의 협력 관계 유지에 따른 선택의 자유 제한 등이 공존해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국 보조금 혜택을 받는다면 중장기적으로 중국과의 관계를 축소해 나가야 하는 압박을 받을 수 있고, 이는 주요국 대비 반도체 수출 및 생산에서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보조금을 거부한다면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반도체 동맹’에서 한국이 소외될 가능성이 있어 자유로운 선택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EU의 반도체 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EU 시장 내 첨단 반도체 팹에 대한 적은 수요 △취약한 반도체 생태계 기반 △EU 내 반도체 제조시설의 높은 운영비용 등 제한이 있어 한국 기업에 큰 이익이 없을 것으로 봤다.
반면 EU 내에서 반도체 생산을 위한 반도체 장비, 소재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반도체 소부장 기업에는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