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SDS는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 1943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9.0% 감소했다. 1분기 매출액은 18.9% 줄어든 3조 4009억원이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2083억원으로 1.9% 증가했다.
전체 매출 감소는 해상·항공을 오가는 수·출입 물동량이 줄어든 데다 코로나19 이후 화물 운송 운임이 정상화돼 물류 시장이 얼어 붙은 탓이다. 이번 분기 삼성SDS의 물류 사업 매출은 1조 9310억원으로 작년 1분기에 비해 29.5% 감소했다. 클라우드 구축 등을 포함한 IT서비스 매출(1조4699억원)은 1.2% 오르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삼성SDS 측은 IT서비스 부문 성장 엔진인 클라우드 사업을 더 키우는 동시에 어려워진 물류 업황을 해외 신규 수요 발굴로 타개할 계획이다.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지난달 27일 열린 1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글로벌 지역별로 특화된 전략으로 서비스 역량을 발전시켜 크로스셀링을 집중 추진하고 북미·동유럽향 설비 이전 물류 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팩토리 부문 사업은 5세대(5G) 통신 특화망을 기반으로 AI 비전검사, 무인운송 로봇 운영에 대한 기술검증(PoC)을 진행 중이다. LG CNS 관계자는 "금융 산업 전문성과 클라우드·AI·블록체인 등 IT 기술을 경쟁력으로 20년 넘게 국내 금융 DX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K㈜ C&C는 별도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119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86.7% 감소했다. 반도체 경기 불황 등으로 인해 비경상적 배당 수익이 감소한 영향이다. 1분기 매출액은 4649억원으로 4.7% 줄었다. 배당 수익이 줄어든 것을 감안하면 매출은 선방한 수치다. 남은 하반기 기업 대상 디지털 정보기술서비스(ITS)와 클라우드·인공지능(AI) 부문 사업에서 성장세를 잇겠다는 목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