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동조합이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하면서 국토부가 운송 위기 경보를 발령됐다. [사진=연합뉴스]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동조합이 임금협상 결렬에 따라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하면서 운송 위기 경보가 발령됐다.
12일 국토교통부 및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가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이하 서울지노위)에 조정 신청서를 낸 지난 10일 항공운송 마비 위기 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운송 관련 매뉴얼에 따라 항공사 노조가 노동위에 조정 신청을 할 재난 위기 경보를 띄우고 조정 상황을 모니터링한다"며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항공운송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위기 경보를 발령하고 관계 기관과 부서가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와 사측은 작년 10월부터 6개월여 동안 2019∼2022년 임금 협상을 이어왔으나 지난 9일 결렬됐다.
노조는 2019∼2021년 임금 동결과 2022년 임금 10% 인상안을, 아시아나항공을 관리하고 있는 채권단은 2019∼2021년 임금 동결, 2022년 임금 2.5% 인상안을 제시했다.
서울지노위는 오는 18∼25일 3차례 임금 협상 조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양측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아 조정 중지가 결정되면 노조는 조합원 투표를 거쳐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다.
노조는 오는 13·14일 인천·김포공항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고, 17일에는 산업은행 앞에서 집회를 열 예정이다.
12일 국토교통부 및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가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이하 서울지노위)에 조정 신청서를 낸 지난 10일 항공운송 마비 위기 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운송 관련 매뉴얼에 따라 항공사 노조가 노동위에 조정 신청을 할 재난 위기 경보를 띄우고 조정 상황을 모니터링한다"며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항공운송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위기 경보를 발령하고 관계 기관과 부서가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와 사측은 작년 10월부터 6개월여 동안 2019∼2022년 임금 협상을 이어왔으나 지난 9일 결렬됐다.
서울지노위는 오는 18∼25일 3차례 임금 협상 조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양측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아 조정 중지가 결정되면 노조는 조합원 투표를 거쳐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다.
노조는 오는 13·14일 인천·김포공항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고, 17일에는 산업은행 앞에서 집회를 열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