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기획재정부는 이같은 내용의 2'2022년도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경제교육 성과·취약점을 파악하고 학교 경제교육 추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2020년 첫 실시 이후 이번이 두 번째 조사다.
지난해 10월4일부터 11월 11일까지 약 한달간 초·중·고 학생 1만5000명(각 5000명)을 대상으로 경제이해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국 평균 점수가 초등학생이 65점으로 그나마 제일 높았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58점, 57점을 각각 받았다. 2020년 조사 대비 각각 7.3점, 8.4점, 5.0점 상승한 것이다.
이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확산세로 온라인 위주 수업에서 2022년 대면수업 전환에 따른 학습 피드백 강화 등에 따른 결과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뉴스(47.1%), 소셜미디어(45.6%)를 통해 경제 지식을 취득했다는 응답이 학교수업(44.0%)보다 높았다. 아울러 중학생의 45.4%, 고등학생의 51.4%가 학교에서 경제교육시간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 조사에 참여한 교사 70~80%가 경제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현실 경제, 경제 이론에 대한 이해 부족과 수업에 필요한 보충자료를 수집하고 선택하기 어렵다고 대답했다.
이에 기재부는 경제소양을 갖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 경제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제12차 경제교육관리위원회를 통해 확정한 학교 경제교육 내실화 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경제교육 프로그램 확충을 위해 현장 수용성이 높은 교육자료 개발과 자유학기제 등 범교과 학습에서 활용 가능한 실생활 중심의 학생 참여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