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전력망 구축에 3.7조원 투입…분산에너지 활성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기락 기자
입력 2023-02-14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12월 12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수급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향후 5년간 지능형전력망 분야에 약 3조7000억원을 투자한다. 전력 공급 유연성을 확보하고 소비 유연화를 유도해 2027년까지 분산형 전원 18.6%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열린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지능형전력망(스마트그리드)은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전기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망을 뜻한다. 

정부는 국내 전력소비가 늘고 발전소·송전선로 건설 지연에 따른 공급 불안정성 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향후 5년간 분산에너지 확대 등의 정책방향을 이번 계획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주요 과제로 전력 공급 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해 잉여전력을 열, 수소 등으로 저장하는 섹터커플링 상용화와 전력망에 연결된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로 활용하는 전기차활용(VGI) 제도를 마련한다.  

분산에너지의 제어자원화를 위한 통합발전소(VPP) 시장을 도입한다. 올해 말 제주에서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를 시범 운영하고 2025년까지 전국으로 이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수요가 집중되는 시간에 사용량을 줄이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국민DR을 확대한다. 공공시설, 지자체 등을 통해 국민DR 연계 에너지 절약 사업을 확대하고 참여기회가 확대되도록 규칙을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 전력계량 시스템 구축을 통한 서비스 참여 기반을 마련한다. 2024년까지 공공을 중심으로 저압용 AMI 전고객(2250만호)에 구축을 완료하고 민간 소유의 주택용 고압 계약 아파트에도 AMI 확산하기로 했다.

제주지역의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시행 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전국으로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분산에너지 계통수용성 제고를 위한 핵심 R&D도 지원한다. 연내 재생에너지 관성 부여를 위한 인버터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직류-교류 혼용 배전망 상용화를 위한 차세대 AC/DC 하이브리드 배전네트워크기술개발사업에 2028년까지 1905억원을 투입한다. 

전력시스템 디지털화를 통해 실시간 수급 변동성 대응력을 제고한다. 배전망 운영자 제도 도입 등 배전망 단위 분산전원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ADMS) 단계적 확대를 추진한다. 

또 기설 154kV 변전소 361개(전체 53%)를 2027년까지 디지털변전소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마이크로그리드 모델 확산을 위해 2027년까지 15개 스마트그린산단에 마이크로그리드 인프라를 구축하고 마을·섬 등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별 맞춤 모델 실증도 추진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