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급망 위기, 이번에는 의료용품...'내년 2월에야 받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 기자
입력 2021-12-27 17: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美 의료용품 물류, 평균 최장 37일 걸려...오미크론 확산세에 일선 비상

  • 백악관은 반독점 조사 칼날...공급망 혼란·인플레이션 근본 원인 잡겠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B.1.1.529·오미크론)로 미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화하는 가운데 공급망 혼란 탓에 의료용품 보급이 지연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미국 보건산업유통협회(HIDA) 통계를 인용해 미국 주요 항구에서 의료용품을 담은 8000~1만2000개의 선적 컨테이너 운반이 최장 37일까지 지연되고 전했다. 이는 성탄절(12월 25일)에 주요 항구에 도착한 각종 의료용품이 일선 의료기관에 내년 2월에나 도착한다는 의미다. 

HIDA는 해당 컨테이너가 화물선으로 항구까지 운반돼 양하(揚荷)하는 기간이 평균 17일, 이후 철도로 11일, 트럭으로 9일이 걸려 의료용품 운반에 총 37일이 소요된다고 집계했다. 한 대의 컨테이너에는 18만7500벌의 의료 가운과 36만개의 주사기, 350만개의 수술용 장갑이 포함돼 있다. 이들 모두 코로나19 방역 대응에 있어 의료진에 필수적인 용품들이다. 

이에 따라 악시오스는 코로나19 신규 확진 규모가 다시 늘어나며 각 의료기관이 가장 필요로 하는 시기에 중요한 용품이 제때 보급되지 않을 수 있다면서 이는 의료 시스템 과부하를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보건산업유통협회(HIDA)가 집계한 의료용품 공급 지연 통계. [자료=미국 보건산업유통협회(HIDA)]


HIDA의 해당 통계는 앞서 지난 17일 공개됐으나 발표 후 열흘가량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와 같은 공급 지연 현상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공급이 지연되고 있는 주요 항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롱비치항 △조지아주의 사바나항 △뉴욕·뉴저지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찰스턴항 △워싱턴주 시애틀항 등 9곳이 꼽혔다. 이들 모두 미국의 주요 화물항으로 대부분이 앞선 공급망 혼란 사태 당시에도 언급됐던 항구다. 

다만 지난 17일 당시 HIDA는 미국 물류 전문지 아메리칸시퍼에서 해당 공급망 지연을 해소하기 위해 각 항구 관리자들과 '이니셔티브(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IDA는 미국 양대 화물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업체인 SSA마린과 사바나항, 뉴욕·뉴저지항, 롱비치항 등 관계자들에게 해당 사실을 알리고 의료용품을 담은 컨테이너를 우선 처리하도록 요청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컨테이너를 디지털 시스템으로 식별하고 하역 우선순위에 올리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매슈 로완 HIDA 최고경영자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여전히 우리와 함께하고 있으며, 특정 변이주(Variant)의 유행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 "따라서 최선의 전략은 공급망이 미리 위기 상황에 대한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유통업체와 제조업체, 공급업체가 함께 의료용품 운반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칼 벤첼 미국 연방해사위원회(FMC) 위원 역시 해당 매체에서 "HIDA를 비롯한 관계 기관이 도움을 요청하는 서한을 받았고 위원회가 후속 회의를 진행했다"면서 "FMC가 화물 (하역)의 우선순위를 정할 법적 권한은 없지만, 이들 용품은 미국의 일선 의료진을 위한 필수 제품이기에 여러 차례 회의를 열어 공급 지연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벤첼 위원은 존 포카리 미국 백악관 공급망 중단 태스크포스 항만 특사와도 연락을 주고받으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도움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물류 지연으로 항구에 컨터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백악관은 반독점 조사 칼날...'공급망 혼란·인플레이션 근본 원인 잡겠다'  
한편, 바이든 행정부는 공급망 지연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세)의 근본적인 요인으로 '독점' 문제를 지목하고 있다. 각종 유통망이 일부 대기업에 집중하면서 경쟁 부족 현상이 발생했고 미국의 공급망 회복력이 약해졌다는 진단이다. 

특히, 백악관의 반독점 조사는 앞서 메타(구 페이스북)와 아마존 등의 소셜미디어·플랫폼 기업과 가금류와 돼지고기 등에서 농가에 적게 보상한 정육업계 등에 대한 표적을 넘어, 해운업계와 에너지업계로도 향하고 있다. 

지난 25일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공급망 중단 태스크포스의 반독점 조사에 기존의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농무부, 법무부뿐 아니라 FMC까지 참여하고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FMC는 국제 해운업계의 '바가지 운임' 의혹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제 해운 물류를 통제하는 몇몇 해운동맹이 운임료를 최대 9배나 인상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FMC는 아직까진 코로나19 사태 이후 상품 수요 폭발에 따른 자연스러운 운임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향후 소비자의 수요가 하락한 이후에도 인위적으로 높은 가격을 유지할 경우 반독점 조사의 수위를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이 외에도 FTC와 미국 법무부는 각각 석유업계의 인위적인 휘발유 가격 인상과 설탕업계의 대형 인수합병 논의 등을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달 말 백악관은 공급망회의를 열어 월마트와 아마존 등 9개 대형 유통업체에 공급망 교란의 이유를 규명할 수 있는 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기업 관계자들과 면담했다. 

다만, 백악관의 이와 같은 행보에 미국 상공회의소와 북미육류연구소 등 경제단체들은 법적 대응을 예고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