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4주년 여론조사] 10명 중 5명 이상, '전 국민 지원금'도 '주4일제'도 반대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경조 기자
입력 2021-11-14 13:4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 국민 지원금 반대 52.7%·주4일제 반대 56.3%

  • 2030, 재정 부담 등 우려로 전 국민 지원금 반대

  • 주4일제, 2030 찬성 우세…주6일 겪은 4050 반대

국민 10명 중 5명 이상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내놓은 '전 국민 일상회복 지원금'과 '주4일제' 공약에 일제히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창간 14주년을 맞아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전 국민 일상회복 지원금에 반대하는 비율은 52.7%로 찬성(42.7%)을 눌렀다. 주4일제도 반대 비율(56.3%)이 찬성(36.8%)을 앞질렀다.

다만, 연령대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인 20~30대는 전 국민 일상회복 지원금에 대체로 반대하는 반면, 주4일제는 찬성이 우세했다. 40~50대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전 국민 지원금, 4050보다 2030에서 반대
 

[사진=아주경제 편집팀]


전 국민 일상회복 지원금(이하 전 국민 지원금)은 명칭이 단기간에 수차례 바뀌었다. 당초 '전 국민 재난지원금'에서 '전 국민 위드코로나 방역지원금', '전 국민 일상회복 방역지원금'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명칭이 거듭해서 바뀌는 동안 당정 갈등은 깊어졌고, 국민들은 과반이 반대하는 가운데 연령대별로 이견을 보였다.

실제 20대 155명(가중값 175명) 중 50.8%가 전 국민 지원금을 반대(매우 반대 31.5%+다소 반대 19.3%)했다. 찬성은 43.0%(매우 찬성 25.7%+다소 찬성 17.4%)였다. 30대는 찬반 비율 격차가 더 컸다. 설문 응답자 126명(가중값 152명) 가운데 57.9%가 반대하고, 38.9%가 찬성했다. 이들은 재정 부담과 그로 인한 세금 폭탄을 우려했다.

지난 8월 한국경제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가채무 증가 속도(연평균 6.3%)가 지속될 경우 1인당 부담해야 할 국가채무는 2038년 1억502만원, 2047년 2억1046만원, 2052년 3억705만원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추세에 올해 태어난 신생아가 만 18세가 되는 해에는 1억원이 넘는 나랏빚을 짊어지게 될 전망이다.

이와 반대로 40~50대는 전 국민 지원금 찬성에 무게가 실렸다. 설문에 응한 40대 161명(가중값 185명) 중 찬성 비율(53.4%)이 반대(43.6%)보다 9.8%포인트 높았다. 50대(226명, 가중값 195명)는 반대(49.2%)가 찬성(46.5%)보다 많았지만, 격차는 2.8%포인트로 연령대 중에서 가장 작았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전 국민 지원금 반대(남성 50.5%, 여성 54.9%)에 손을 더 많이 들었다. 광역별로도 서울(57.3%), 부산·울산·경남(부·울·경, 58.3%), 대구·경북(55.1%), 인천·경기(50.3%), 충청(57.6%), 강원(52.2%), 제주(57.7%) 등 반대 비율이 과반을 차지했다. 호남권만 찬성(59.2%)이 반대(34.7%)를 월등히 앞질렀다.

◆주6일→주5일 겪은 4050, 주4일제 반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주4일제 또한 민감한 문제다. 우리나라가 지금의 주5일 근무를 시작한 것은 2002년 은행권에서부터다. 주6일제에서 바뀌는 데 무려 10여년이 걸렸다. 당시 재계는 "나라가 망할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변화를 직접 겪은 40~50대는 주4일제에 반대하는 비율이 높았고, 20~30대는 오히려 지지했다. 부모세대가 주5일 근무로 전환하는 과정을 본 30대의 찬성 비율이 53.0%로 연령대 중 최고치였다.

구체적으로 20대 찬성 비율은 51.2%, 반대는 44.4%였다. 매우 반대한다(31.3%)가 매우 찬성한다(26.3%)보다 많았지만, 다소 찬성한다(24.9%)가 간극을 메웠다. 30대는 찬성과 반대 각각 53.0%, 39.3%로 차이가 더 많이 났다. 특히 매우 찬성한다는 비율이 33.8%로 전 연령대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40대는 38.1%가 주4일제에 찬성했고, 56.9%가 반대했다. 50대도 찬성(36.2%)과 반대(59.5%) 비율이 40대와 흡사했다. 은퇴층인 60대 이상에서는 332명(가중값 293명) 중 19.3%만 찬성했으며, 반대가 69.7%에 달했다.

광역별로는 전 권역에서 반대 비율이 과반을 기록했으며 70%가 넘은 지역도 있었다. 세부적으로 강원(76.4%)과 제주(69.2%), 부·울·경(63.3%)에서 반대가 많았다. 성별로도 남성(찬성 37.7%, 반대 56.7%)과 여성(찬성 35.9%, 반대 55.9%) 모두 반대에 치우쳤다.

다만, 20~30대 바람과 별개로 아직 주52시간 근무가 온전히 정착하지 못한 상황에서 주4일제는 섣부르다는 게 여야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달 4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주4일제, 음식점 총량제 등을 주제로 공방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 송 대표는 주4일제에 대해 "장기적 목표"라는 견해를 밝혔고, 이 대표는 "양극화를 가속화한다"고 평가했다. 결국 양측 모두 주4일제를 당장 시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 것이다.

송 대표는 "(주4일제 시행 시) 그만큼 생산성이 높아지고 부가가치가 생기는 구조인지 돌이켜봐야 한다"며 "중소기업에서는 주 52시간도 힘들어한다. 업종별 특성 고려해 탄력근로제를 적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효율을 높이면 된다고 하는데 개인이 생산성을 20% 올리는 게 얼마나 힘든지 아느냐"며 "대안 없이 막연하게 주4일제 하자고 하면 화이트칼라나 공무원 계층에는 소구력이 있겠지만, 대부분은 20% 소득 감소로 받아들인다"고 비판했다.

◆어떻게 조사했나

△조사기관: 한길리서치 △조사의뢰: 아주경제신문 △일시: 2021년 11월 11~13일, 공표 14일 △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조사방법: 유선 전화면접 16.2%, 무선 자동응답시스템(ARS) 83.8% △응답률: 5.4% △오차 보정 방법: 2021년 8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성별·연령별·지역별·가중값 부여)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용: 20대 대통령 선거 등(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